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한국식 중국 음식. 엄밀히 말하면 중국에서 전래되어 한국식으로 바뀐 음식이다. 실제 중국식 짜장면도 된장에 돼지고기와 채소를 곁들여 만드는 식으로 현재의 한국식 짜장면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었다.
개요
춘장에 돼지고기와 양파 등을 넣고 볶은 다음 면과 함께 섞어 먹는 음식. 중국 음식을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바꾼 한국식 음식이기도 하다. 한편 ‘짜장면’이라는 단어 자체는 맞춤법과 발음할 때의 괴리가 있었던 대표 단어 중 하나이기도 한데, 2011년부터 ‘자장면’과 ‘짜장면’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여 두 단어 모두 쓸 수 있게 되었다.
유래
본래 중국 베이징 길거리 음식 가운데 하나였던 짜장면은 두판장이라는 된장에 돼지고기 비계와 살을 볶아서 국수에 얹고 채소를 곁들여 먹는 식이었다. 이후 1883년 인천항이 열렸고, 이때 들어온 중국 화교 가운데 산둥 출신의 화교들이 만든 요리가 오늘날 한국인이 즐겨 찾는 짜장면의 기원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산둥 지역에는 우리의 된장과 비슷한 톈멘장을 얹은 국수인 차오장멘이 있었고, 산둥 음식은 파와 마늘을 많이 썼기 때문에 베이징 음식인 짜장면이 공교롭게도 산둥 사람과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한국식 짜장면이 된 것이다. 한편 한국에서 한국식 짜장면을 처음 판 시기와 장소는 1905년 인천의 공화춘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관계는 정확하지 않다.
종류
짜장면의 종류로는 간짜장, 삼선짜장, 유니짜장 등이 있다. 간짜장은 춘장을 볶을 때 물이나 전분 대신 기름이 들어가는데, 이로 인해 기본 짜장면보다 소스가 좀 더 걸쭉하다는 특징이 있다. 삼선짜장은 새우나 오징어 등 생선을 제외한 해산물을 넣어 만드는 짜장면이고, 유니짜장은 채소와 고기가 모두 잘게 다져져서 부드러운 질감이 느껴지는 짜장면이다. 이 밖에도 유슬짜장, 옛날짜장, 사천짜장, 쟁반짜장 등의 종류가 있다.
재료
밀가루 면, 돼지고기, 양파, 굴 소스, 춘장, 식용유 등이 필요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