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지느러미엉겅퀴

다른 표기 언어 Carduus crispus 동의어 뇌공채, 雷公菜, 엉거시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국화과
원산지 아시아, 유럽
서식지 산, 들
크기 약 70cm ~ 1m
학명 Carduus crispus L.
꽃말 고독한 사랑

요약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원산지는 유럽과 아시아의 온대지역이다. 한국에는 도로변이나 논, 밭 근처에서 자라며, 전국에 걸쳐 분포하는 외래종 잡초이다. 줄기 양쪽에 지느러미 같은 가시가 있는 날개가 붙어있다. 5~20cm 길이의 잎에도 끝에 톱니 같은 가시가 있다. 꽃은 붉은 빛이 도는 자주색 혹은 흰색으로 핀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데, 연한 줄기의 껍질을 벗겨 날것으로 먹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줄기·잎·뿌리를 이뇨제·지혈제·해열제로 쓰며 관절염 치료에 사용하기도 한다.

지느러미엉겅퀴

ⓒ WIKIMEDIA COMMONS (Kurt Stueber) | cc-by

개요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학명은 ‘Carduus crispus L.‘이다. 외래종으로 '엉거시'라고도 부른다. 한방에서는 ‘비렴’이라 불리는 약재로 쓰이는데, 관절염, 소변출혈, 요로감염증 등에 효능이 있다.

형태

키는 1m에 이른다. 화살의 날개처럼 줄기 양쪽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날개가 달린다. 깊게 갈라진 잎은 어긋나는데 가장자리에는 가시들이 있고 뒷면에는 흰 털이 빽빽하게 자란다. 통상화각주1) 로만 이루어진 꽃은 6~8월경 두상 꽃차례에 무리 지어 자주색으로 핀다. 수과각주3) 로 익는 열매는 깃털이 있어 바람에 쉽게 날린다. 종자로 번식한다.

활용

잎에는 아스코브르산, 시에는 반건성기름, 뿌리에는 이눌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있다. 거풍작용이 있어서 관절염, 류머티스성관절염으로 다리가 시리고 무거우면서 아픈 증상에 유효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지느러미엉겅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