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충서

다른 표기 언어 忠恕

요약 수양에 힘써 자신을 속이지 않는 인격을 쌓고 그것을 미루어 다른 사람에게까지 영향을 준다는 뜻으로, 곧 유가의 최고 가치인 인을 행하는 자세를 가리킨다. 공자는 "나의 도는 하나로 꿰뚫어 말할 수 있다"고 했는데, 증삼은 이를 "스승의 도는 충서일 따름이다"라고 풀이했다. 주희는 충은 자기 자신의 할 바를 극진히 한다는 뜻이며, 충서는 자기를 미루어 남에게 미친다는 뜻이라고 풀이했다. 충서는 인을 2가지 측면에서 표현한 것이다. 스스로 사리사욕에 얽매이지 않으며 생각이 구차하지 않은 것이 충이고, 다른 사람을 자신과 같이 생각하고 자기의 이익 때문에 다른 사람을 침해하지 않는 것을 서라 할 때, 충서는 인을 이룩하기 위한 실천과정이다. 즉 충은 수기이며, 서는 치인이 된다.

수양에 힘써 자신을 속이지 않는 인격을 쌓고 그것을 미루어 다른 사람에게까지 영향을 준다는 뜻으로, 곧 유가의 최고 가치인 (仁)을 행하는 자세를 가리킨다.

일찍이 공자는 "나의 도(道)는 하나로 꿰뚫어 말할 수 있다"고 했는데, 증삼(曾參)은 이를 "스승의 도는 충서일 따름이다"라고 풀이했다. 〈중용 中庸〉에서도 "충서는 도에서 어긋남이 멀지 않다"라고 했다. 〈대학 大學〉의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을 남에게 시키지 말라"는 것도 충서의 뜻을 나타낸 것이다.

공자(孔子)

유교의 시조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 사상가

ⓒ Cold Season/위키피디아 | Public Domain

송대의 정호(程顥)는 "충은 천리이고 서는 인도이다. 충은 망녕됨이 없는 것이고 서는 충을 행하는 소이(所以)이다. 충은 체(體)이고 서는 용(用)이며 대본달도(大本達道)이다"라고 했다. 또 주희(朱熹)는 충은 자기 자신의 할 바를 극진히 한다는 뜻이며, 충서는 자기를 미루어 남에게 미친다는 뜻이라고 풀이했다.

정호

송나라의 철학자

ⓒ Hannah~commonswiki / wikipedia | Public Domain

충서는 인을 2가지 측면에서 표현한 것이다. 스스로 사리사욕에 얽매이지 않으며 생각이 구차하지 않은 것이 충이고, 다른 사람을 자신과 같이 생각하고 자기의 이익 때문에 다른 사람을 침해하지 않는 것을 서라 할 때, 충서는 인을 이룩하기 위한 실천과정이다. 즉 충은 수기이며, 서는 치인(治人)이 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동양철학

동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충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