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축산업의 경영방식은 각 지역의 기후·초지·토지이용·문화 등에 따라 기업적 목축업, 낙농업, 방목, 유목, 혼합농업 등으로 구분된다.
기업적 목축업은 자급자족을 위해 행하는 것이 아니라, 가죽·털·육류 등을 세계시장에 팔기 위해 효율적으로 생산하도록 하는 것이며, 낙농업이나 방목 형태가 대규모로 이루어진다. 낙농업은 현대사회에서 축산업의 가장 대표적인 양식이다. 사료작물을 재배하여 젖소를 기르고 우유를 짜서 버터·치즈 등을 제조하는 것을 뜻하나, 크게는 가공(加工) 부문의 독립과 경영분화로 생긴 착유경영(搾乳經營)·육성경영(育成經營) 등을 포함하여 젖소를 사육하고 경영하는 것을 총칭한다.
낙농업은 기계화가 가장 잘 진행되어 시설에 대한 자본투자가 많으므로 규모도 크다. 특히 미국에서는 가공업과 결합하여 기업적 농업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일반적으로 토지이용이 조방적인 지역에 전개되므로 지역주민 중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비율이 높다. 대표적인 상업적 낙농업지역으로는 북아메리카의 오대호 연안, 미국 태평양 연안 중부, 영국, 북서유럽, 스칸디나비아 반도, 알프스 지방,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유럽에서는 덴마크·네덜란드·스위스 등이 대표적인 낙농국이다.
방목은 가축을 일정한 야외의 목장에서 방사하는 축산양식으로 소·양 등이 주요대상가축이다.
이것은 가축이 야외의 신선한 목초를 먹이로 하며 일광의 혜택을 입고,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유럽에서도 행해지는 곳이 있으나, 가장 대규모적인 지역은 북아메리카 대평원, 아르헨티나 팜파,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이다. 유목은 정착농경에 거의 의존하지 않고 가축의 무리와 함께 이곳 저곳으로 거주지를 옮겨다니면서 생활하는 방식이다.
유목의 형태는 크게 가옥을 짓지 않으며 농업관행도 없는 순수유목(사하라의 낙타유목민)과 건기에는 이동을 하고 우기에는 정착농경을 하는 반유목(동아프리카의 마사이족)으로 구분된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양·산양·소·말·낙타 등을 초지에 방목했다가 초지가 다 없어지면 또다른 지역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정착 가옥은 없고, 운반이 간단하고 쉽게 세울 수 있는 파오(Pao)나 유르트(Yurt)가 주거로 이용된다.
유목에서의 가축은 질이 좋지 못하며, 그 생산물은 자급자족인 것이 대부분으로 국제상품으로서의 가치는 적다. 아시아의 내륙부인 몽골, 타림 분지, 중앙 아시아, 리비아 등에서 사하라에 이르는 지역이 대표적이며, 시베리아 북부, 알래스카와 캐나다 등지에서도 순록에 의한 유목이 행해진다.
유목과 비슷한 형태로 계절에 따라 또는 정기적으로 가축의 무리를 이동시키는 이목이 있다.
겨울에는 산에서 계곡으로 여름에는 다시 산으로 가축을 몰고 돌아가는 산간지역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혼합농업은 작물재배와 가축사육이 결합된 농업형태이다. 즉 밭에서 식료용 작물인 밀·호밀과 사료용 작물인 보리·연맥·당근·무 등이 재배되며, 가축의 배설물은 그대로 밭의 지력유지(地力維持)를 위해 활용되는 상호관계이다. 미국의 옥수수지대와 유럽의 지중해식 농업지역에서 대표적으로 행해진다.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곡초식(穀草式)·삼포식(三圃式) 등의 농업이 행해지다가 삼포식의 휴한지(休閑地)에 사료작물을 재배하면서 혼합농업이 본격적으로 발달했고, 특히 19세기 이후에는 윤재식(輪栽式) 농법으로 변화했다. 낙농업은 본래 산업혁명 이후 혼합농업에서 분화된 것으로 혼합농업은 육류, 낙농업은 우유를 비롯한 낙농제품을 얻기 위한 것이다. 지리학자 D. 휘틀지는 혼합농업을 상업적 혼합농업과 자급적 혼합농업으로 분리하기도 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산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