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처용가

다른 표기 언어 處容歌

요약 처용은 〈삼국유사〉권2 처용랑 망해사조에 나오는 인물이다. 헌강왕이 동해용왕의 아들인 처용에게 벼슬을 내리고 결혼을 시켜 수도에 머물게 했는데, 사람으로 변한 역신이 그의 아내와 동침하였다. 이를 목격한 처용은 오히려 〈처용가〉를 부르면서 춤을 추며 물러나왔다. 이에 감복한 역신은 처용의 그림만 보아도 침범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다. 이 후 사람들은 처용화상을 걸어 사귀를 물리쳤다고 한다.
처용설화에는 현실의 갈등에서도 뒤로 물러서는 미덕과, 폭력 앞에 춤과 노래로 대처하는 여유가 나타나 한국인의 심성과 지향가치를 알게 해주는 구절로 자주 인용되기도 한다.
처용가는 향찰로 기록되어 전한다. 학자들은 처용을 무당·화랑·불자, 지방호족의 자제, 이슬람 상인 등으로 규정하면서 배경과 사상이 달리 해석하고 있다.

〈삼국유사〉 권2 처용랑 망해사(處容郞望海寺)조에 전한다. 헌강왕이 개운포(開雲浦) 바닷가로 놀이를 나갔다 돌아가는 길에 물가에서 쉬고 있는데 동해 용왕이 조화를 부렸다. 왕이 용을 위해 절을 지으라고 명하자 조화를 멈춘 용은 왕 앞에 나와 인사했다.

처용가

처용무에 등장하는 처용탈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동해 용의 일곱 아들 중 1명이 왕을 따라 서울에와 정사를 보좌했는데 그의 이름이 처용이었다. 왕은 그의 마음을 잡아두기 위해 미녀를 아내로 맺어주고 급간(級干) 벼슬을 내렸다. 처용의 아내는 매우 아름다워 역신(疫神)이 사모했다. 역신은 사람으로 변해 처용이 없는 밤에 그의 아내를 찾아와 동침했다. 처용이 외출했다가 집으로 돌아와보니 자기 아내의 잠자리에 두 사람이 누워 있었다. 이에 〈처용가〉를 지어 부르며 춤을 추면서 그 자리를 물러나왔다.

처용이 물러나자 역신은 모습을 드러내 무릎을 꿇고 "제가 공의 아내를 사모해 오늘 밤 범했습니다. 그런데도 공은 성난 기색을 보이지 않으니 참으로 감복했습니다. 맹세하건대 이후로는 공의 모습을 그린 화상만 보아도 그 문 안에는 들어가지 않겠습니다"라고 말했다. 이때문에 사람들은 문간에 처용의 얼굴을 그려 붙여 사귀(邪鬼)를 물리치고 경복(慶福)을 맞아들였다고 한다.

향찰(鄕札)로 기록되어 있는데 양주동의 해독에 근거하여 현대역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동경 밝은 달에/밤드리 노닐다가/들어와 자리 보니/다리가 넷이어라/둘은 내 것이런만/둘은 뉘 것인고/본디 내 것이다만/빼앗긴 걸 어찌하릿고." 먼저 달 밝은 밤에 늦게까지 놀았다고 하여 뒤에 오는 아내의 간통 현실과 대조를 이루었다. 간통장면과 그에 대한 처용의 심리반응을 다리 수를 세는 것으로 묘사했다.

이러한 표현법은 민요에서 흔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이 노래가 민간에 그 원천을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처용은 "이미 빼앗긴 걸 어찌하겠느냐"며 체념하고 만다. 그러나 이러한 체념이 역신과의 대결에서 패배로 끝나게 하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역신의 마음을 감동시켜 승리하게 만들었다. 현실의 갈등 상황 속에서 일단 한 걸음 뒤로 물러나는 미덕(美德)과, 폭력 앞에 춤과 노래로 대처하는 여유를 보여주었다. 한국인의 심성과 지향가치를 알게 해주는 구절로 자주 인용되기도 한다. 이 노래는 그 배경설화의 문맥을 떼어내고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동안 처용설화에 대한 연구는 왕성하게 전개되어왔는데, 처용을 무당·화랑·불자 또는 지방호족의 자제, 이슬람 상인 등으로 규정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작품의 배경과 사상이 달리 이해되었다. 배경설화와 관련해서 볼 때 이 노래는 사귀를 물리치고 복을 비는 굿에서 연유한 것이라고 봄이 타당할 것이다.

처용이라는 신격의 가면을 쓰고 춤을 추는 사람이 역신의 가면을 쓰고 춤을 추는 사람을 물리치는 과정을 행동으로 보여주는 굿이 나라의 안녕을 비는 국가적 행사로 치러졌던 것으로 보인다. 연극적인 내용, 구성, 의미를 갖춘 굿에서 〈처용가〉는 아내를 빼앗긴 후 처용의 고민을 노래로 표현한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삼국유사 중 처용랑망해사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처용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