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채찬

다른 표기 언어 蔡燦
요약 테이블
출생 ?, 충북 충주
사망 미상
국적 한국

요약 독립운동가.

일명 백광운.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이강년(李康䄵)을 따라 의병항쟁에 참여했다. 1910년 한일합병 후 만주로 건너가 신흥학교(新興學校)를 졸업한 뒤 신용관(辛容寬) 등과 함께 퉁화 현[通化縣] 하니 강[哈泥河] 샤오바이차이거우[小白菜溝]에서 백서농장을 경영하면서 둔전제(屯田制)를 실시하여 독립군을 양성했다.

1919년 3·1운동 뒤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에 가담, 의용군 제1중대를 편성하여 일제의 행정기관을 파괴하는 등 크게 활약했다. 1920년 5월 국내로 진입하여 평안북도 강계군 문옥면 일경주재소를 습격했으며, 1921년에는 관뎬 현[寬甸縣] 일대에서 일본군과 싸우고, 친일단체인 일민단(日民團)·보민회(保民會) 등을 습격했다. 1922년 김창환(金昌煥)과 같이 남만통일회(南滿統一會)를 조직하고 제1중대장에 취임하여 800~900여 명의 의용군을 모집했다.

같은 해 8월 대한통의부가 조직되자 이에 가담하여 제1중대장으로 활약했으나, 전덕원(全德元) 등 일부가 이탈하여 의군부(義軍府)를 조직하는 등 통의부와 의군부 사이에 알력이 심해지자 김원상(金元常)·박응백 등과 함께 탈퇴한 뒤 상해 임시정부 직할의 육군주만참의부(陸軍駐滿參議府)를 결성하고 참의장(參議長)이 되었다. 1924년 5월 19일 장창헌(張昌憲)·한권웅 등 14명의 결사대를 파견하여 압록강 철교 준공식에 참석한 사이토 마코토[齋藤實] 총독을 저격하게 하는 등의 활동을 했으나, 통의부 문학빈(文學彬)의 부하인 백병준(白炳俊)·백세우(白世雨)의 습격을 받고 죽었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채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