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창녕군의 유물·유적·관광

다른 표기 언어

선사시대부터 인간이 거주했고, 고대 부족국가시대에는 비화가야(非火伽倻)가 있던 곳으로 이에 관련된 유물·유적이 많다. 삼국시대는 신라의 군사 요충지로 신라 유적이 많아 경상남도의 경주라고도 불리운다. 군내에는 세계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재(국보 2, 보물 11, 사적 4, 천연기념물 1, 중요민속문화재 2, 중요무형문화재 2), 지방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23, 기념물 11, 민속문화재 1), 문화재자료 44점 등이 있다.

창녕고분군

창녕교동고분군, 사적 제80호,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선사시대의 유적지로는 장마면 유리의 창녕지석묘(경상남도 기념물 제2호)가 있고, 그밖에 영산면 신제리와 부곡면 부곡리의 지석묘군이 있다. 창녕지석묘는 전형적인 남방식 지석묘로 원래 7기가 있었으나, 지금은 1기만 남아 있다. 가야시대의 고분으로는 창녕교동고분군(사적 제80호)·창녕송현동고분군(사적 제81호)·계성고분군(경상남도 기념물 제3호) 등이 있다. 교동고분은 장방형의 평면 횡혈식 석실구조이며, 여기에서 출토된 금관 및 부속금구(국보 제138호, 호암미술관)의 섬세하고 정교한 제작기술은 당시 가야문화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창녕 교동, 송현동 고분군은 2023년 9월 고령 지산동 고분군, 김해 대성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고성 송학동 고분군, 합천 옥전 고분군, 전북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 등재가 결정되었다.

화왕산에 축조된 화왕산성(사적 제64호)과 목마산성(사적 제65호) 등 군내에 산재한 7곳의 산성도 가야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창녕읍 교상리에는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국보 제33호)가 있다. 본래 화왕산 기슭의 창녕읍 말흘리에 있던 것을 옮긴 것으로, 건립연대는 신라가 비화가야를 병합하고 이 지방을 순시한 해인 561년으로 추정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비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비문의 기록은 당시의 촌락 지배체제와 통치조직, 우리나라의 농업발달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신라의 영향을 받아 불교문화재가 많다. 국보로 창녕술정리동3층석탑(국보 제34호)이 있고, 보물로는 창녕송현동석불좌상(보물 제75호)·관룡사약사전(보물 제146호)·관룡사대웅전(보물 제212호)·관룡사용선대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제295호)·관룡사석조여래좌상(보물 제519호)·술정리서3층석탑(보물 제520호) 등이 있다. 그밖에 창녕석빙고(보물 제310호)·창녕탑금당치성문기비(昌寧塔金堂治成文記碑, 보물 제227호)가 있다.

군내의 관광권은 부곡온천을 중심으로 한 부곡온천권, 비화가야의 중심지를 포함하는 창녕읍권, 남산과 작약산을 중심으로 한 영산권으로 나누어진다. 부곡온천은 1973년 발견된 국내 최고의 유황온천수로 피부병·위장병·신경통·고혈압·부인병 등에 효험이 있다. 온천이 개발된 후 1977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어 많은 관광객이 찾아든다.

창녕읍권 관광지는 유물·유적을 중심으로 하는 관광지로 조성되고 있으며, 영산권은 남산공원이 1982년 호국공원으로 조성되면서 관광지로 개발되었다. 공원에는 임진왜란 호국충혼탑과 화왕산 승전도, 3·1운동기념비, 6·25영산지구전적비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남도

경상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창녕군의 유물·유적·관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