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조선노동공제회

다른 표기 언어 朝鮮勞動共濟會

요약 1920년 서울에서 조직된 한국 최초의 전국적인 노동운동단체.

1910년대 일본자본이 주로 항만·도로·철도 등 자원수탈사업에 집중 투자되면서, 유통·토목·건축 부문의 임금노동자들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1920년 2월 7일 신사상조류를 받아들여 노동문제에 대한 관심이 깊어진 지식인들이 조선노동문제연구회를 개최했고, 이들이 중심이 되어 4월 11일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창립 때의 조직은 회장 밑에 실무기구로서 총간사와 서무·경리·교육·소개·구호·조사 등 7개 부서를 두고 각 부에 간사 3명씩을 배치하는 것이었다. 창립 임원은 회장 박중화(朴重華), 총간사 박이규(朴珥圭) 외에 신백우(申伯雨)·홍증식(洪增植)·차금봉(車今奉) 등이었다.

의결기관으로 의사회(議事會)를 설치했는데, 의사장은 오상근(吳祥根), 의사원은 김명식(金明植)·장덕수(張德秀)·김병로(金炳魯) 등 15명이었다. 임원들은 언론인·교육가·변호사 등 지식인들이 대부분이었고, 소수의 노동자 대표들이 참여했다. 회원들의 성향도 실력양성론적 민족주의자들부터 상해파 고려공산당 등에 속한 사회주의자들까지 다양했다. 창립 직후부터 15개 지방에서 지회가 조직되었고, 서울의 공제회는 경성본회(京城本會)로 변경되었다. 1921년 4월 2~3일 제1차 정기총회를 개최하여 회장직제를 집행위원직제로 개정하고, 집행위원을 의사원의 2배로 선출하여 실무기구를 강화했다.

1922년 4월 3일 제2차 총회에서는 의사회를 폐지하고 중앙집행위원회의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사회주의자들이 집행위원의 절반을 장악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당시 전국의 회원은 1만 5,000명에 이르렀다. 창립 때의 강령은 민족차별 철폐, 식민지교육 폐지, 노동자의 기술양성, 노동보호 및 쟁의권 획득, 상호부조 등이었고, 활동방침은 노동자의 지식계발·품성향상·환난구제·직업소개·저축장려·위생장려 및 일반 노동상황의 조사·연구 등이었다. 이를 위해 강연회 개최를 통한 노동자의 계몽활동과 중앙노동강습소 등의 노동야학에서의 수신(修身)·한국어·한문·일본어 등의 대중교육의 수행에 중점을 두었다.

한편 1920년 4월부터 1921년 4월까지 기관지 〈공제〉를 발행하여 서구의 노동운동사 및 신사상으로서 사회주의를 소개·선전하고, 1920년 8월 〈노동공제회보〉를 창간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모두 중단되었다. 1921년 7월 경성본회는 공제회원만을 대상으로 소비조합을 설치하고 미곡·숯 등의 생활필수품을 취급했으나, 고액납부의 부담으로 인해 실패하고 말았다. 양복직공, 부산 부두노동자들의 동맹파업 때는 조사원을 파견하고 중개활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1922년 제3차 정기총회에서는 노동독본 편찬, 노동조합 발전, 소작인조합 조직, 조선노농총동맹의 설립 등을 활동방침으로 정하여 조직적 노농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했다. 이에 따라 '소작인선언'을 발표한 데 이어 진주지회를 중심으로 소작인 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했으며, 신백우·백광흠(白光欽) 등이 지방지회를 순회하면서 노농운동을 선전했다.

그러나 같은 해 6월 '사기공산당사건'으로 장덕수·오상근·김명식 등이 축출되고, 차금봉을 중심으로 한 노동자 대표들이 지식인 배척운동을 벌이는 등 심각한 내부분열의 진통이 계속되었다. 공제회 내의 사회주의계열과 비사회주의계열, 사회주의계열 분파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지도력에 균열이 생겼고, 1922년 10월 15일 무산자동맹회의 윤덕병(尹德炳) 등을 중심으로 임시총회가 별도로 개최되어, 조선노동연맹회(朝鮮勞動聯盟會)를 결성했다.

이들은 노동공제회의 노선을 개량주의라고 비판하면서 보다 계급적·사회주의적 노선을 취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차금봉 등 공제회의 잔류지도부는 해체를 부인하고 활동을 계속하기로 결의했다. 이 분열과정에서 지방지회에 대한 경성본회의 영향력은 거의 상실되어, 전국적 단위의 노동단체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지역노동단체로 위상이 격하되었다. 1924년 들어 심각한 재정압박과 조선노농총동맹(朝鮮勞農總同盟)의 창립에 영향을 받아 실질적으로 해체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노동

노동 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조선노동공제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