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독자적인 정치세력을 이루었던 고대 탐라국의 중심지였던 제주시지역은 삼국시대에 백제에 이어 신라와 관계를 맺었으나 고려시대인 1105년(숙종 10)에 탐라군이 됨으로써 고려의 직할지가 되었다. 고려가 몽골과의 투쟁 후 항복하자 1271년(원종 12)에 김통정이 이끄는 삼별초군이 이곳에 웅거하면서 몽골에 끝까지 저항했으나 3년 만에 고려와 몽골의 연합군에게 패한 후, 원나라의 직할지가 되어 한라산 기슭을 중심으로 말·소 등을 방목하는 목마장이 설치되었다. 그후 원나라가 반환했다가 다시 원이 관할하는 등의 변화를 겪다가, 1367년(공민왕 16) 완전히 고려에 회복되었다.
조선에 들어 1416년(태종 16)에 한라산을 경계로 북쪽에 제주목을 두고 목사를 파견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23부의 하나인 제주부가 설치되었다가, 1896년에 13도제 실시로 전라남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에 시행된 군면 폐합에 의하여 정의군·대정군과 완도군 추자면이 제주군에 병합되어 제주군은 제주도 전역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때 제주시의 모체인 제주군 중면이 제주면으로 개칭되었다. 1915년 도제 실시로 전라남도 소속 제주도(濟州島)가 되어 도사가 파견되었으며, 1931년에 제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46년 제주도가 전라남도로부터 분리 승격되어 제주도(濟州道)로 되고, 1955년에 제주읍이 시로 승격되었다.
한편 2006년 7월 제주시로 통합된 북제주군은 1300년 충렬왕이 제주도를 동도·서도로 나누고 14개의 현촌(縣村)을 설치했는데, 북제주군 지역에는 귀일(貴日)·고내(高內)·애월(涯月)·곽지·귀덕(歸德)·명월(明月)·신촌(新村)·함덕·김녕 등이 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 1416년(태종 16)에 한라산을 경계로 북쪽에 제주목을 두고 목사를 파견했다. 제주목(濟州牧)의 관할구역이 오늘날의 제주시와 북제주군에 해당한다.
별호는 영주(瀛州)였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제주부 제주군, 1896년에 전라남도 제주목이 되었다가 1906년에 다시 제주군으로 개칭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정의군·대정군 전역과 완도군의 추자면을 편입하여 제주도 전역을 제주군으로 포함하고, 중면을 제주면으로 개칭했다. 1915년에 군제가 도제로 바뀌어 전라남도 소속 제주도(濟州島)가 되었다. 1931년에 제주면이 읍으로 승격했다. 1946년에 제주도가 전라남도에서 분리, 도(道)로 승격되면서 북제주군과 남제주군이 신설되었다. 1955년 제주읍이 시로 승격·분리되었고, 1956년 한림면이 읍으로 승격되면서 한경면이 신설되었다. 1980년 애월면·구좌면, 1985년 조천면을 읍으로 승격하고, 1986년에 구좌읍 연평리를 분리, 우도면으로 승격시켰다.
2006년 7월 1일 제주도가 제주특별자치도로 바뀌면서 북제주군이 제주시로 통합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주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