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조선시대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로를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
1467년(세조 13) 5월 함길도 토호의 한 사람으로 회령 부사를 지낸 이시애가 도내 각지의 토호·농민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8월 진압군이 홍원(洪原)·북청·이원 등지의 싸움에서 이기고 이시애가 잡혀 죽게 되면서 난이 진압되었다.
반란군 토벌에 공을 세운 45명을 적개공신에 책봉하고, 80~150결에 이르는 공신전을 내렸다. 3등급으로 나누어 포상했는데, 1등은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으로 귀성군 준(浚), 조석문, 강순, 남이 등 10명, 2등은 정충포의적개공신으로 김국광(金國光)·정말손 등 23명, 3등은 정충적개공신으로 최유림(崔有臨)·정준 등 12명에게 주었다. 이들에게는 등급에 따라 노비와 토지 등을 차등 지급했다.
그리고 반란의 재발을 막기 위해 함길도를 남·북 2도로 나누어 중앙정부의 행정적·군사적 통제를 강화했다.→ 이시애의 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