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19세기 미국에서 발생한 개신교 종파.
(adventists는 '도래'라는 뜻의 라틴어 adventus에서 유래).
개요
후광과 함께 도래하는 그리스도의 육체적·가시적 재림이 가까웠다고 믿는 것이 교리상의 특징이다.
성서에 기록된 유대교·그리스도교의 예언사상, 메시아주의, 천년왕국에 대한 기대를 근거로 형성되었다. 재림파는 그리스도가 재림할 때 성도들을 악한 자들에게서 분리시키고 천년왕국을 시작하리라고 믿는다(→천년왕국).
신앙과 관행
제7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대부분의 그리스도교도들이 믿고 있는 기본적인 신조들을 대체로 공유하고 있다.
그들은 〈구약성서〉·〈신약성서〉의 권위를 인정하며, 그리스도의 속죄를 해석할 때 하느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칼뱅주의보다는 하느님의 택하심과 인간의 선택 모두를 강조하는 아르미니우스주의에 가깝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죽음이 '잠정적·잠재적으로 모든 인류를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리스도의 은혜를 적절히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만 효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스도 재림에 대한 강조 외에 그들은 다음과 같은 2가지 점에서 다른 그리스도교도들과 구분된다. ① 주간의 첫째날을 안식일로 지키기보다는 제7일을 안식일로 지킨다. 성서에 따르면 이 날은 창조 이래로 하느님이 제정했으며, 안식일에 쉬는 것에 대한 계명은 하느님의 영원한 율법의 일부이다. ② 육식과 모든 자극적이고 마취성 있는 음식을 유해한 것으로 간주하며 이의 섭취를 금한다.
이러한 식사규정을 정당화하기 위해 성서에 호소하면서 몸이 성령의 전(殿)이므로 보호되어야 한다는 광범위한 신학적 성찰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재림파들은 십일조를 강조하기 때문에 1명당 연간 헌금액이 매우 많으며, 이를 통해 세계적인 복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토요일에는 일을 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직업상 차별을 받아왔으며, 이로 인해서 그들은 종교의 자유에 대해 진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에큐메니즘을 반대하는 이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제7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와 에큐메니즘의 관계를 논의하기 위해 제7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와 세계교회협의회 대표들 간에 여러 차례의 협의가 이루어졌다.
제도
제7일예수재림파는 1874년 존 네빈스 앤드루스(1829~83)를 최초의 선교사로 파송하면서 세계적인 운동으로 확대되었으며,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거의 모든 나라에 교회를 두게 되었다.
제7일예수재림파는 선교사업에 역점을 둔 결과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해 연안,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새로이 많은 신자들을 얻게 되었다.
주요한 운영기구인 총회본부는 워싱턴 D. C. 터코머 파크에 있다. 총회본부는 1903년 배틀크리크에서 이곳으로 옮겨왔다. 총회의 모임은 4년마다 열리며, 협의회라고 불리기도 하는 각 지부, 연합교구, 지구에서 파견된 대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지역협의회는 지역교회를 위한 목회적 차원의 감독을 맡고 있으며, 지역협의회 치리(治理)는 선출된 평신도장로와 부제들이 수행한다.
총회는 500종류 이상의 언어로 시행되는 전도활동, 대규모의 교구학교 제도, 수많은 의료기관(요양소)을 관장하고 있다. 최초의 요양소는 1866년 배틀크리크에 세워졌다. 여러 나라에서 출판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자원봉사자들이 집집마다 재림파의 전단을 보급하고 있다.
역사
재림파의 창시자인 윌리엄 밀러(1782~1849)가 설교하기 시작한 때는 미국에서 천년왕국사상이 부흥하고 있었다.
1812년 전쟁에서 밀러는 미군 장교로 복무했고, 그 당시는 회의론자였다. 회심한 뒤 〈다니엘〉·〈요한의 묵시록〉을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아버지가 믿었던 교파인 침례교도로서 설교했다.
그는 그리스도가 1843년 3월 21일에서 1844년 3월 21일 사이에 재림할 것이라고 단정지었으며, 철저한 개혁주의자였던 보스턴의 조슈아 힘스 같은 수많은 성직자와 추종자들(약 10만 명)이 그의 견해를 지지했다. 그는 천년왕국설을 주장했기 때문에 광신주의자라는 비난을 받았고, 그리스도의 재림이 대화재와 더불어 일어날 것이라고 강조하여 청중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그리스도는 밀러가 처음 지명한 날에 재림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와 추종자들은 1844년 10월 22일을 2번째 재림일로 정했다. 이 날도 아무 일 없이 지나가버리자 '대실망'이라고 일컬어지는 일이 재림파들 사이에서 일어났으며,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45년 재림파 공동대회가 소집되었다. 그러나 이 대회에 참여한 사람들은 하나의 신앙고백을 작성하고 단일한 영구조직을 결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밀러의 예언이 실패로 돌아간 후에도 계속 활동한 사람으로는 조지프 베이츠(1792~1872), J. 화이트(1821~81), 화이트의 아내인 E. H. 화이트(1827~1915)를 들 수 있다.
신문에서 밀러파라고 불리운 이들 재림론자들은 밀러가 정확한 날짜를 제시했으나 그날 일어난 사건을 그들이 잘못 해석했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다니엘〉 8·9장을 읽은 뒤 '하느님이 하늘의 성소를 깨끗하게 하는 일', 즉 조사(調査)의 성격을 띤 심판을 시작했고, 그뒤에 심판을 선고하고 판결을 집행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1844년에 실제로 시작된 것은 생명책에 기록되어 있는 이름을 전부 조사하는 일이었다. 이 일이 완전히 끝난 후에야 그리스도가 나타나 1,000년간의 통치를 시작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날짜를 지정하지는 않았지만 그들은 그리스도의 재림이 '인격적·가시적·가청적·육체적이고, 영화롭고, 천년왕국 이전에 있을 것'이며 임박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일요일 대신 제7일(토요일)을 지키는 것이 재림을 성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이들 밀러파들은 그 이전의 잡지 〈현대의 진리 Present Truth〉에 기반을 둔 〈재림 평론과 안식일 예고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라는 잡지를 1850년에 창간했으며, 오늘날의 이름은 〈평론과 예고 Review and Herald〉이다.
1855년 미시간 주 배틀크리크에 본부를 설립했으며, 1863년에 제7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라는 공식적인 교파가 되었다. 재림파들은 이전에 감리교도였던 화이트 여사가 예언의 은사를 받았다고 믿었는데, 그녀는 환상을 보았고, 아메리카·유럽·오스트레일리아 등지를 널리 돌아다니며 설교했으며, 〈세대간의 갈등 Conflict of the Ages〉이라는 연재물(5권, 1888~1917)과 〈교회를 위한 증언 Testimonies for the Church〉(9권, 1855~1909)을 비롯한 많은 저서를 저술했다.
그외의 재림파 단체들은 밀러의 예언에서 직접적·간접적 영향을 받아 19세기에 출현했다.
이러한 단체들로는 복음주의재림교회(1845), 생명과 재림연합(1862), 하느님의 교회(제7일, 1866), 하느님의 교회총회(아브라함의 신앙, 1888), 재림교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군소단체 중에서는 재림교회가 가장 크다. 이 단체는 1860년 밀러의 추종자인 조너선 커밍스(1852경 활동)가 조직했는데, 그는 조건적 불멸성에 대한 가르침을 강조했다.
죄로 인해 인간은 불멸성을 상실했고, 죽으면 무의식 상태에 있다가 그리스도 재림시에 신실한 자는 생명으로 돌아가고 불의한 자는 소멸된다고 한다. 이 재림교회 교도들은 화이트 여사의 가르침을 결코 예언으로 인정하지 않고, 안식일 준수와 식사규정에 대한 제7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가르침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들의 교회정치는 회중교회 형태이며, 미국재림교회 총회를 통해 미국과 전세계에서 사역을 조정한다.
1964년 재림교회는 '생명과 재림연합'과 결합했다.
재림파들이 강조하는 것은 오순절파와 성결교 교파들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이들은 성령세례와 성령의 은사가 나타나는 것, 성화(聖化)되어가는 것을 그리스도와 그의 왕국의 도래를 나타내주는 표적이라고 해석한다. 여호와의 증인을 창시한 찰스 테이즈 러셀(1852~1916)도 재림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천년왕국 여명론자(Millennial Dawnists)로 알려진 그의 추종자들은 사탄의 지배하에 있는 이 세상과 야훼(하느님)의 통치는 대립되어 있다고 믿었다.
천년왕국 여명론자들은 그리스도의 재림을 전파하는 것이 자기들의 책임이라고 생각했고, 그리스도 재림의 징조는 하르마게돈(아마겟돈) 전쟁이며, 이 전쟁에서 사탄은 정복당하고, 신실한 자들은 보상을 받으며, 사악한 자들은 멸절될 것이라고 믿었다(→여호와의 증인).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