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판매를 위해 보유하는 완제품, 생산과정에 있는 재화, 원재료, 그리고 판매될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소비될 재화 등을 포함해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품목.
재고는 회사의 대차대조표에 자산으로 표시된다. 상품이 현금으로 전환되는 비율을 가리키는 재고율(inventory turnover)은 기업의 금융조건을 평가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이다. 판매에 따른 재고의 비율 변동은 재고투자 또는 부(負)의 투자로 간주된다.
재고의 화폐가치는 또한 판매 상품의 원가를 결정하는 손익계산서상에 나타난다. 판매 상품의 원가는 기초(期初)에 갖고 있었던 재고와 기간중에 재화를 구매하고 생산하는 데 든 비용을 합하고 이로부터 기말(期末)에 갖고 있는 재고를 공제함으로써 결정된다.
재무제표에서 재고는 대개 원가로 또는 원가와 시가 가운데 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일반적으로 구매된 상품과 원료의 원가는 당해 기간 동안 변동하기 때문에 재고에 대하여 어떤 원가를 적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는 보통 다음 3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첫째, 평균법, 둘째, 재고에는 마지막으로 구매된 단위의 비용을 적용하고 판매 상품에는 최초로 구매된 단위의 비용을 적용하는 선입선출법(先入先出法 first in-first out/FIFO), 셋째, 선입선출법과 역으로 이루어지는 후입선출법(後入先出法 last in-first out/LIFO)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