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장구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장고라고도 하며, 북통의 허리가 잘록하다고 하여 세요고·요고라고도 한다. 장구는 내려치는 힘의 강약, 복판과 변죽의 차이 등에 따라 수많은 소리의 변주를 이루며 연주할 수 있다.

한자로는 장고(杖鼓)라고도 한다. 장고란 이름은 오른손에 채를 들고 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공옥진 여사가 사용한 장구

장구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고려시대 송나라로부터 전래되어 당악(唐樂)에 쓰였고, 장구의 크기가 오늘날의 것보다는 작았다. 기록이 남아 있는 옛 문헌으로는 〈악학궤범〉이 있고, 고려가요인 〈한림별곡〉 가사에도 그 이름이 보인다.

북통의 모양이 허리가 잘록하다고 하여 세요고(細腰鼓) 또는 요고(腰鼓)라고도 한다. 이 악기는 통 양쪽에다 가죽을 대는데, 가죽의 둘레에 원철(圓鐵)이라는 철테를 넣어 쇠고리인 구철을 걸어서 축승(縮繩)인 붉은 색실을 얽어매고 축수(縮綬)라고 하는 가죽으로 축승을 2가닥씩 죄어 좌우로 움직여 축승을 죄거나 풀어 음높이를 조절한다. 장구의 통은 사기·기와흙·나무 등으로 만드나 오늘날은 대개 오동나무로 만든다.

통의 크기는 왼쪽이 크며 오른쪽은 작다. 가죽의 두께도 왼편은 두꺼워 저음이 나고, 오른쪽은 얇아 고음이 난다. 왼편은 흰 말가죽으로 하고 오른쪽은 생마피로 만들었으나, 오늘날에는 북편은 쇠가죽으로 채편은 말가죽으로 만든다. 민속악에는 왼편은 개가죽으로, 오른편은 노루가죽을 쓰기도 한다. 크게 정악장구와 풍물이나 무악(巫樂) 등 민속악에서 쓰는 장구로 나눌 수 있는데, 정악 장구는 왼편 가죽을 북편이라 하여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어 다듬은 채를 들고 친다. 채편은 성악곡이나 독주곡의 반주 혹은 실내악과 같이 음량이 작은 음악일 때는 변죽을 치며, 합주곡이나 풍물같이 음량이 큰 음악일 때는 복판을 친다. 민속악에 쓰이는 장구는 왼편 가죽을 궁굴이채로 치는데, 때로는 궁굴이채로 좌·우의 가죽을 번갈아 치기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타악기

타악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24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장구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장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