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잉어목 > 잉어과 > 잉어속 |
---|---|
서식지 | 강, 호수, 저수지 |
크기 | 약 35cm ~ 1.2m |
무게 | 약 22kg |
학명 | Cyprinus carpio |
식성 | 잡식 |
용도 | 탕용, 찜용 |
수명 | 약 20년 |
요약 잉어과에 속하는 녹갈색의 강건한 어류. 원산지는 아시아이지만 유럽과 북아메리카, 그리고 그 밖의 지역에도 전래되었다. 호주와 남미 등 극히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다. 가장 오랜 기간 양식되어온 역사를 가진 어류이다. 잉어는 원추형 모양에 위턱 양쪽에 2개의 수염이 달리고 비늘이 크다. 잔잔하며, 잡초가 많고 바닥에 진흙이 깔린 연못과 호수, 강 등에서 홀로 또는 작은 무리를 이루어 산다. 식재료로 활용할 때에는 주로 탕이나 찜으로 조리한다.
개요
잉어과에 속하는 녹갈색의 민물어류. 학명은 Cyprinus carpio이다. 생명력과 적응력이 뛰어난 민물고기인 잉어는 본래 동아시아나 인도 등 아시아의 온대지방에서만 서식했었으나, 지금은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유럽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하지만 캐나다나 미국에서는 반갑지않은 외래종으로 취급된다. 일부 호수나 강의 우점종으로 자리잡은 잉어는 잡식성이라 특정 생물종들을 멸종시키는 포식자 노릇을 하고 있다. 게다가 저서생물을 잡아먹는 습성 때문에 물을 혼탁하게 만드는 골칫거리 신세이다.
형태
길이는 평균 35cm 정도이지만 100cm, 22㎏ 이상으로 자라기도 한다. 잉어는 빨리 자라기 때문에 3년 정도면 성적으로 성숙하게 되고 가두어 기르면 40년 이상도 살 수 있다.
생태
잡식성이고, 먹이를 찾아 땅을 팔 때 흔히 물을 휘저어 탁하게 만들어서 많은 동식물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이런 점을 달갑지 않게 여겨 잉어를 없애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나라도 있다. 겨울에는 휴면상태에 들어가 바닥에서 은거하고 먹이도 먹지 않는다. 보통 봄에 암컷이 대개 얕은 물에 있는 식물이나 암석의 조각더미 위에 많은 알을 낳는데, 알은 4~8일 후에 부화한다.
종류
거울잉어(mirror carp:큰 비늘이 약간 있음)와 가죽잉어(leather carp:비늘이 거의 없음)는 이 종(種)의 2가지 사육 변종이다. 영어 이름이 'Crucian carp'인 붕어(Carassius carassius)는 금붕어의 수염이 없는 유럽산 근연종이다.
특징
잉어는 단위면적당 많은 양이 생산되기 때문에,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흔히 식용으로 기른다. 다만 특유의 비린내가 강해서 맛보다는 보양의 개념으로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자양강장과 산후 산모의 원기 회복에 효과가 있다하여 약용으로 쓰여 오기도 했다. 이 밖에 잉어는 한국에서 좋은 낚시 어종으로도 취급되는데, 많은 양어장에서 기른 종묘가 호수나 하천에 방류되어 자연산과 섞여 살고 있다.
대표 효능
단백질, 비타민
고르는 법
크기가 적당하고 고유의 색상이 있는 것을 고른다. 되도록 살아있으며 최소한 무게가 1kg 이상 되고 몸통이 둥그스럼하며 통통해야 잔가시가 적다. 살아 있는 잉어는 11월에서 4월 사이가 살이 올라 맛이 좋다. 산란기인 5월이 지나면 품질이 떨어진다. 죽은 잉어를 살 때에는 아가미가 지저분하거나 살에 탄력이 없어 물렁한 것은 피한다.
조리법
잉어는 주로 탕이나 찜으로 먹는다. 이때 맛이 아닌 보양의 개념으로 먹는 것이기 때문에 잉어가 본래 가지고 있는 특유의 비린내를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 이 밖에 매운탕이나 회로 먹기도 하는데 이때도 역시 양념이 매우 중요하다.
음식 궁합
잉어는 본래 영양이 뛰어나 여러 음식과 잘 어울리는데, 특히 닭고기와 함께 먹을 경우 잉어와 닭고기의 성분이 만나면서 극대화된 효능으로 인해 콜레스테롤이 감소되어 궁합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