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사람이나 동물의 형태를 본떠서 만든 어린이 장난감.
서양의 인형
선사시대의 무덤에서는 지금까지 인형이 발견되지 않았는데, 나무와 털가죽 또는 천과 같은 썩기 쉬운 재료들로 만들어졌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설화석고(alabaster)로 만든 움직이는 팔을 가진 바빌로니아 인형의 부분은 복원되었다. BC 3000~2000년의 인형이 이집트의 몇몇 무덤에서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평평한 나무에 새긴 것으로, 그림이 기하학적이며, 물 흐르듯 드리워진 긴 머리털이 점토나 나무로 된 구슬을 늘어뜨린 줄로 이루어져 있다. 고대의 몇몇 인형은 종교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일부 전문가들은 종교적인 인형이 장난감으로서보다 앞섰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고대 그리스·로마에서는 혼기에 이른 처녀들이 아르테미스(디아나)와 아프로디테(비너스)에게 폐기된 인형을 바쳤다. 이집트·그리스·로마에서는 아이 무덤에 인형을 묻었으며, 그리스도교 초기에도 지하묘지에 인형을 묻었다. 밝은색 양털실을 코바늘로 뜬 인형과 양털로 만든 머리에 채색된 양털옷을 입은 인형, 낡은 누더기 인형이나 속을 채운 인형도 발견되었다.
중세에 만든 인형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1413년에 독일의 뉘른베르크에는 인형 제작자 도헨마헤르가 있었고 또한 이곳은 16~18세기에 인형과 장난감의 주요제조지였다. 파리는 일찍부터 인형을 대량으로 생산한 도시였으며 주로 패션 인형을 만들었다.
인형 머리는 나무·테라코타·설화석고·밀랍으로 만들었으며, 밀랍기법은 영국에서 처음으로 아기인형을 만든 오거스터 몬태너리와 그녀의 아들인 리처드가 완성했다(1850경~87). 1820년경에 유약을 입힌 자기(드레스덴) 인형 머리와 초벌한 자기로 만든 인형 머리가 인기를 끌었다.
1862년 쥐모가(家)가 만든 초벌한 자기 프랑스 인형은 목을 회전시킬 수 있었으며, 몸통은 나무에 염소 가죽을 입히거나 염소 가죽에 톱밥으로 속을 채워 만들었다. 이 몸통 제조법은 20세기에 거푸집(몰드)으로 만든 플라스틱 제품이 나올 때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19세기에는 종이인형 책과 인도고무나 구타페르카(樹脂)로 만든 인형에서 볼 수 있듯이 소켓 이음매와 움직이는 눈, 말하고 걸어다니는 인형 등이 나왔다. 1860~90년에는 초벌만 되고 정교한 옷을 입은 파리풍의 패션 인형과 이보다 작은 '여성용 모자가게의 모델' 인형이 쏟아져나왔다.
가장 오래된 아메리카 인형은 테오티우아칸의 피라미드 근처 아스텍족의 무덤에서 발견된 것으로 추정된다. 식민지의 인형은 대부분 유럽의 모델을 따랐다. 아메리카 인디언의 인형 중에서는 푸에블로 인디언족의 카치나(비의 신) 인형이 눈에 띈다.
일본에서는 인형이 놀이도구이기보다는 축제용인 경우가 더 많다.
3월에 열리는 소녀들의 축제에서는 왕과 왕후 및 그들의 왕궁을 나타내는 인형이 전시된다. 7~17세의 소녀들은 서로가 수집한 인형을 구경하며 간단한 다과회를 베푸는데 다과는 먼저 왕과 왕후에게 바친 다음 손님들과 나눈다. 이 의식은 900년이 넘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일본의 소년들도 태어난 뒤 첫 5월부터 약 15세 때까지 매년 인형 축제를 연다. 무사도정신을 고취하기 위하여 무사인형과 무기, 깃발, 전설적인 인물이 전시되며 현대에 와서는 운동선수로 분장한 것도 있다.
인도에서 힌두교도들과 이슬람교도는 모두 어린 신부에게 깔끔한 옷을 차려입은 인형을 주었고 시리아에서는 혼기에 찬 소녀들이 창문에 인형을 걸어놓는다.
남아프리카에서는 오렌지프리 주(州) 음펭구족이 모든 성숙한 소녀에게 첫아이를 가질 때까지 계속 지니고 다닐 인형을 하나씩 주는데, 첫아이가 태어나면 그 어머니는 둘째 아이를 위하여 또 하나의 인형을 받게 된다. 20세기에 특히 인기있는 인형으로는 큐피 돌(1903), 잠잘 때는 눈을 감는 바일로 베이비(1922), 다이디와·웻시 벳시 인형(1937), 바비 인형(1959) 등이 있다.
한국의 인형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인형은 5, 6세기의 것으로 보이는, 흙으로 만든 토우(土偶)이다. 신라시대의 고분에서 발견된 토우는 검은 잿빛을 띠고 있으며, 주로 명기(明器:죽은 사람과 함께 묻는 기물)로서 부장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이 서 있는 상으로서 기법이 서투르고 단조로우며, 악기를 타는 모양, 노래하는 모양, 지게를 진 모양, 노인의 얼굴, 부부상, 남자상, 말탄 모양 등 형태가 다양하다. 백제시대의 것으로는 유리로 만든 동자상(童子像)이 있는데, 공주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것으로, 눈·코·입이 선각으로 표현되어 있고 손은 합장하고 있다. 그밖에 조선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토우·도우(陶偶), 민간에서 신의 숭사물로서 신방(神房)이나 신막(神幕)에 놓는 점토로 만든 토우와 목우, 그리고 정월 대보름날 주술용으로 쓰이는 처용인형도 있다. 처용인형은 짚으로 사람의 형상을 만든 것으로서, 민간에서는 제웅이라고 한다. 정월대보름날에는 제웅의 짚 사이를 비집어 약간의 돈이나 쌀과 함께 그해가 액년에 해당되는 사람의 성명·생년월일을 적어넣어 길바닥이나 다리가에 버리는 풍습이 있었다. 한국 민속에는 제웅인형 외에 풀각시인형이 있다. 해마다 음력 3월이 되면 5, 6세 되는 계집아이들은 각시풀을 뜯어서 대나무쪽에다 풀끝을 실로 매고 머리를 땋아 가느다란 나무로 쪽을 찌우고, 헝겊조각으로 대쪽에다 노랑저고리와 붉은 치마를 만들어 입혀서 새각시 모양의 인형을 만들어 요·이불·베개·병풍을 차려놓고 혼례식 등을 흉내내는 놀이를 했다.
이와같이 인형은 고대로부터 귀인의 부장품으로, 민간신앙의 대상물로, 또는 아이들의 장난감으로 사용되었다. 인형의 종류에는 정적 인형과 놀이를 위한 움직이는 인형이 있으며, 움직이는 인형은 인형극에도 사용되었다. 꼭두각시놀음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인형과 만석중놀이에 사용되는 만석중인형이 바로 그것이다.
만석중놀이는 음력 4월 8일 '부처님 오신 날'에 축하 여흥으로 연출하던 일종의 무언인형극으로서, 만석중인형의 가슴에 구멍을 2군데 뚫어 4개의 끈을 통하게 한 다음 좌우 양손과 양다리 끝에 한 가닥씩 꿰어서 빠지지 않게 한다. 인형 놀리는 사람이 인형 뒤에서 구멍을 통한 줄을 잡아당기면, 그 당기는 줄에 따라 양쪽 손은 가슴을, 양쪽 다리는 머리를 친다. 이 인형은 나무로 만드는데, 몸에는 장삼(長杉)을 입히고 머리에는 송낙을 씌운다. 꼭두각시놀음에 사용되는 인형에는 박첨지, 꼭두각시, 작은 박첨지, 홍동지, 박첨지 조카딸, 박첨지 조카 며느리, 상좌중, 평안감사, 평안감사 관속, 포수, 영노, 돌머리집인형 등이 있다. 오늘날 전래인형은 관광공예품의 하나로 제작되고 있다. 헝겊과 나무로 만든 것이 주종을 이루는데, 최근 한국에서 만들고 있는 것은 부부인형, 노인인형, 해녀인형, 장구인형, 탈춤추는 인형, 남자인형, 여자인형 등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