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1941년 |
---|---|
유형 | 종합병원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마른내로 9 (저동 2가 85) |
사이트 | https://www.paik.ac.kr/seoul/ |
요약 서울 중구에 있는 종합병원. 1941년 백인제 박사가 설립했으며 우리나라 최초 민립공익법인으로 현재 전국 5개 백병원의 모체이다. 당일 진료, 당일 검사 및 당일 결과 확인이 가능한 원스톱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암 센터와 종합건강진단 센터가 있으며, 의료전달체계상 3차 진료기관이다. 수련의·전문의 수련기관으로서 교육병원의 역할과 응급의료 센터로서 서울지역 응급의료체계의 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중구 저동 2가 85번지에 있다.
역사
백인제 박사가 ‘인술제세’라는 이념을 내세워 한국 최초의 민립공익법인으로 1941년 설립했다. 서울백병원은 1936년 경성의학전문학교 외과 주임교수 백인제(白麟濟)가 현재의 병원 자리에 있던 우에무라 외과병원을 인수하여 위탁경영하다가, 1941년 백인제외과병원을 개설하고, 해방 후인 1946년 재단법인 백병원을 설립, 법인화되었다. 6·25 전쟁 중 백인제 박사가 납북된 후 아들 백낙조와 조카 백낙환에 의해 재건되었다. 1972년에 16개 진료과를 증설하여 종합병원으로 신축개원하게 되었으며, 1974년 수련의(인턴)·전문의(레지던트) 수련병원으로 지정되었다. 서울백병원을 모태로 분원인 부산백병원이 1979년 설립되었고, 이들을 부속병원으로 하는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이 설립되면서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변환되었다.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은 1983년 경남 김해시로 이전하면서 인제대학으로 확대되었고, 1988년에는 종합대학교로 승격했다.
연혁
1936년 : 백인제 박사, 서울 중구에서 우에무라 외과병원 위탁 경영
1941년 : 백인제 외과의원 개설
1946년 : 재단법인 백병원 설립
1950년 : 6·25 전쟁 중 백인제 박사 납북
1957년 : 단과 수련 병원으로 인가 (외과)
1972년 : 종합병원 승격 (150병상 16개 진료과)
1974년 : 인턴 및 레지던트 수련병원으로 인가
1979년 : 학교법인 인제학원 발족
1979년 : 백중앙의료원 발족
1979년 :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개교
1979년 : 부산백병원 개원
1983년 : 서울백병원 암센터 개원
1989년 : 상계백병원 개원
1999년 : 일산백병원 개원
2001년 : 동래백병원 개원
2010년 : 해운대백병원 개원
2014년 : 아시아최초 '서서찍는 CT' 도입
2015년 : 안과, 망막질환·시력교정 정밀검진 장비 스펙트랄리스 도입
2016년 : '신경중재치료 인증기관' 지정
진료과와 현황
소화기내과, 심장내과, 내분비내과, 호흡기내과, 노인내과 등 9개 내과를 비롯하여 소아청소년과, 정신건강의학과, 신경과, 피부과, 외과 등 총 30개 진료과가 개설되어 있으며, 건강증진센터, 국제진료센터, 무수혈센터, 인공신장실, 응급의료센터 등 15개 전문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이 밖에 당뇨병클리닉, 충수·담낭클리닉, 경추(목디스크)클리닉, 남성건강클리닉, 두통클리닉 등 48개 특수클리닉이 있다.
2017년 기준 610병상을 갖추고 있으며, 암 센터와 종합건강진단 센터를 부설하여 암의 정복 및 예방보건의 증진에 힘쓰고 있다. 의료전달체계상 3차 진료기관이며, 수련의·전문의 수련기관으로서 교육병원의 역할과 응급의료 센터로서 서울지역 응급의료체계의 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2017년 기준 650여 명의 임직원이 근무 중이다.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종구 마른내로 9 (저동 2가 85)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인제대학교 부속 서울백병원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