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1979년 3월 |
---|---|
유형 | 사립 종합대학교 |
설립자 | 백낙조, 백낙환 |
소재지 | 경상남도 김해시 인제로 197(김해캠퍼스),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복지로 75(부산캠퍼스), 서울특별시 중구 마른내로 9(서울캠퍼스) |
사이트 | http://www.inje.ac.kr |
요약 경상남도 김해시에 본교를 두고 있는 사립 종합대학. 1979년 3월 개교했다. 1988년 지금의 인제대학교로 교명을 바꾸었다. 창립정신은 ‘인술제세·인덕제세’이다. 본교는 김해시 인제로에 소재하며,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부산캠퍼스가 소재한다.
개요
경상남도 김해시에 소재하는 학교법인 인제학원 소속의 사립 종합대학. 1979년 학교법인 인제학원 및 인제의과대학을 설립했고, 1983년 인제대학으로 교명을 바꾸었다. 1988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면서 교명을 인제대학교로 바꾸었다.
설립 이념
인제대학교는 도덕적 인간, 협동적 인간, 실천적 인간을 양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삼는다. 창립정신은 ‘인술제세·인덕제세’이고, 교육이념은 ‘자연보호·생명존중·인간사랑’, 교훈은 ‘정직·성실·근면’이다.
연혁 및 변천
인제대학교는 1941년 개원한 백인제병원을 전신으로 1946년 설립된 재단법인 백병원이 모체이다. 1979년 1월 학교법인 인제학원과 인제의과대학이 설립되었고, 1979년 3월 백낙조·백낙환이 인제의과대학을 개교했다. 1979년 6월 부산백병원을 개원했다. 이후 1989년 8월 상계백병원, 1999년 12월 일산백병원, 2010년 3월 해운대백병원을 개원해 의과대학으로서의 역량을 입증했다. 한편, 1988년 11월 지금의 인제대학교로 교명을 바꾸었다.
1993년 경영대학원을 신설했다. 1995년 교육대학원, 1999년 11월 사회복지대학원, 2016년 3월 산업기술융합대학원을 신설해 전문 대학원 과정을 갖추었다. 1999년 12월 교육부로부터 지방대학특성화 지원사업 의생명공학 분야에 선정되었다. 이후 2000년 2월 한국대학교육협의회로부터 대학원 종합평가 최우수 대학원, 4월 교육부로부터 교육대학원 평가 우수대학원 등에 선정되어 실력을 인정받았다.
2002년 12월에는 디자인대학을 신설해 새로운 분야 인재 육성에 도전했고, 2003년 7월 중소기업인 디자인상품화지원센터를 부설기관으로 직제 신설해 디자인 교육환경을 갖추었다. 2004년 1월 산학협력단, 2005년 2월 기초대학을 신설했다. 2010년 2월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약학대학 신설대학으로 선정되어 2011년 10월 약학과 30명을 포함해 입학정원은 2,388명으로 증원했다.
2017년 4월 교육부 주관의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에 선정되었고, 6월 국제협력선도대학육성·지원사업 후속사업에 2년 연속 선정되어 사회 인재를 기르기 위한 교육 사업을 꾸준히 추진했다. 2019년 3월 리버럴아츠칼리지 단과대학을 설립했다. 2020년 9월 대학교육혁신처 내에 비교과교육지원센터를 신설했다. 2021년 9월 산업융합대학원에 차문화학과를 신설했다. 2023년 2월 김해시 및 가야대학교, 김해대학교, 김해상공회의소와 대학생현장실습학기제 활성화사업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024년 3월 모집단위의 명칭을 변경했다.
대학 조직
2025년 기준 대학은 의과대학과 간호대학, 리버럴아츠칼리지, 사회과학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AI융합대학, 보건의료융합대학, BNIT융합대학, 약학대학으로 나누어져 있다. 대학원 과정으로는 일반대학원을 비롯하여 보건대학원·경영대학원·교육대학원·사회복지대학원·산업융합대학원의 전문 과정을 갖추고 있다.
부속기관으로는 백인제기념도서관과 의학도서관, 정산대 등이 있고 그 밖에 디지털정보원·생활관·인제미디어센터·의무실·체육부·인제대학교박물관·소프트웨어교육원·인제드론교육개발원·Dream Factory 등이 있다.
현황
인제대학교 김해캠퍼스는 경상남도 김해시 인제로 197에 소재하고, 부산캠퍼스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복지로 75에 소재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