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인도 문자체계

다른 표기 언어 Indic writing systems , 印度文字體系

요약 고대 인도의 음절문자인 카로슈티 문자와 반자모문자인 브라미 문자를 포함한 표기체계.

카로슈티 문자에서 발달한 표기체계는 없으나, 브라미 문자는 인도와 티베트, 동남아시아 및 인도네시아(라틴 문자나 아랍 문자, 또는 한자가 토착문자를 대체한 지역은 제외)의 언어들을 표기하는 데 쓰이는 모든 문자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브라미 문자의 북부 형태는 굽타 문자로 발달했고, 굽타 문자에서 다시 티베트어와 코탄어 표기체계가 파생했다(코탄 문자는 카로슈티 문자의 영향도 받았음). 티베트 문자에서는 시킴 섬의 원주민 렙차족(롱족)의 표기체계와 중국 원나라(1279~1368) 때 황실 공문서에 사용된 파세파 표기체계가 파생했다. 파세파 문자는 이제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브라미 문자의 남부 형태는 그란타 문자로 발전했고, 그란타 문자에서 다시 인도 남부의 드라비다어족(예를 들면 타밀어·말라얄람어·텔루구어·칸나다어)뿐만 아니라 실론 섬의 싱할라어, 동남아시아의 크메르어와 몬어, 인도네시아의 카비어(또는 고대 자바어) 등의 표기체계가 발달했다. 타이어 표기체계는 크메르 문자에서, 미얀마어와 라오어 표기체계는 몬 문자에서, 그리고 인도네시아의 부긴어·바타크어 표기체계는 카비 문자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학자들은 추정한다. 샨어와 라오어를 제외한 타이어 방언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표기체계는 미얀마 문자체계에서 유래했다.

일찍이 베트남 남부에 거주한 오스트로네시아어(말레이폴리네시아어) 사용자들이 만든 고대 참어 비문 역시 남인도 표기체계에 기원을 둔 문자로 씌어 있다.→ 굽타 문자, 그란타 문자, 브라미, 카로슈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인도 문자체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