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유필

다른 표기 언어 李裕弼
요약 테이블
출생 1885(고종 22). 11. 28, 평북 의주
사망 1945. 11. 29
국적 한국
춘산(春山)

요약 독립운동가.

본관은 경주. 호는 춘산. 아버지는 계초이다. 일찍이 안창호(安昌浩)·전덕기(全德基)·이동녕(李東寧)·양기탁(梁起鐸) 등이 조직한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에 참여해 구국운동에 앞장섰다. 1912년 일제가 날조한 소위 105인사건으로 체포되어 1년간 진도에 유배되었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의주에서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고 상하이[上海]로 망명했다. 1919년 4월 상해임시정부 내무부비서국장을 역임했으며, 임시정부의 기관지 〈독립신문〉을 창간했다. 1920년 안창호와 임시정부 선전위원회를 설치했으며, 그해 8월에는 미국의원단에 한국의 독립을 호소했다. 1921년 4월 한·중 양국이 서로 도와 대일항쟁에 공동 대처하자는 취지로 중국인 우산[吳山] 등과 함께 한중호조사를 설립했다. 1922년에는 김구(金九)·손정도(孫貞道) 등과 한국노병회를 조직하고 경리부장·이사장을 역임했다.

1923년 8월 교민단 단장에 선출되어 교민단에서 경영하는 인성학교(仁成學校)의 교장으로 교육사업에 종사하는 한편, 〈민성 民聲〉 등을 발행하여 민족정신을 고양했다. 1924년 임시정부 내무총장이 되었으며, 1925년 10월에는 국무원으로 재무장을 겸임했다. 1930년 1월 독립투쟁전선통일을 목표로 김구·조완구(趙琬九) 등과 함께 한국독립당을 조직하고 총무이사로 활동했다. 1933년 3월 상하이에서 일본영사관 경찰에게 검거되어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8·15해방 후 평북임시인민정치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다가 월남 도중 죽었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이유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