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슈타르

다른 표기 언어 Ishtar

요약 메소포타미아 종교에서 전쟁과 성애(性愛)의 여신.
수메르어로는 Inanna.

이슈타르(Ishtar)

ⓒ Marie-Lan Nguyen/wikipedia | CC BY 2.5

이슈타르는 아카드어로, 서(西)셈족의 여신 아스타르테에 해당하는 아카드족의 여신이다.

수메르 신들 가운데 주요여신 이난나는 이슈타르와 동일신으로 여겨지게 되었지만, 이난나가 셈족에게서 기원했는지, 또는 이난나가 이슈타르와 비슷하기 때문에 같은 신으로 여겨지게 되었는지(이 추측이 좀더 가능성이 있음)는 분명하지 않다. 이난나의 모습은 여러 전승이 서로 결합되어 형상화된 듯하다. 이난나는 하늘의 신 '안'의 딸로 등장하기도 하고, 그의 아내로 등장하기도 한다. 다른 신화들에서는 달의 신 난나혹은 바람의 신 엔릴의 딸이다. 이난나는 처음에 창고와 연관되어 대추야자나무·양털·고기·곡식의 여신이 되었다. 창고 문이 이난나의 상징이었다.

이난나는 비와 뇌우의 여신이기도 했는데, 그런 이유에서 하늘의 신 '안'과 연관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때로는 천둥처럼 울부짖는 사자의 모습을 하기도 했다. 이난나가 전쟁의 여신이 된 것은 폭풍우와 연관되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난나는 또한 다산의 여신이자 창고의 여신이며, 대추야자나무의 성장과 수확을 상징하는 신 두무지 아마우슘갈라나의 배우자였다. 이난나는 젊고 아름답고 충동적인 성격으로 등장하며, 결코 조력자나 어머니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일이 없다. 이난나는 대추야자 열매송이 아가씨라고 불리기도 한다.

수메르인들의 전승에 의하면 이슈타르의 역할은 다산의 역할이지만, 신화에서 이슈타르는 죽음과 재난에 둘러싸인 더욱 복잡한 신으로 발전했다. 이슈타르는 방화와 진화, 기쁨과 눈물, 공정한 경쟁과 적의 등 서로 모순된 의미와 힘을 가진 여신이었다. 또한 아카드의 이슈타르는 금성과 연관된 신이기도 하며, 더 나아가 태양신 '샤마시', 달신 '신'과 함께 제2의 3각항성(三角恒星)을 이룬다.

이슈타르의 상징은 하나의 원에 6, 8개 또는 16개의 광선을 지닌 별이다. 이슈타르는 육체적 사랑을 즐기는 금성의 여신으로서 매춘부의 수호신이며, 선술집의 후원자였다. 이슈타르 숭배의식에는 신전 매춘이 포함되었을 것이며, 이슈타르 숭배 중심지인 우르크는 창녀들로 가득한 도시였다. 이슈타르는 고대 중동지역에서 폭넓은 인기를 누렸으며, 많은 숭배 중심지들에서 여러 지역 여신을 거느렸을 것이다. 후기의 신화에서 이슈타르는 안·엘릴·엔키의 세력을 부리는 우주의 여신으로 등장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이슈타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