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다른 표기 언어 Bel

요약 메소포타미아의 3신(神) 중 하나인 대기의 신을 가리키는 아카드어.
수메르어로는 Enlil.

아누(Anu:수메르어로는 An)·에아(Ea:수메르어로는 Enki)와 함께 3신을 이룬다. 엔릴은 바람의 신을 의미했는데 허리케인과 부드러운 봄바람은 그의 입에서 나오는 숨으로 생각되었으며, 결국 그의 말이나 명령으로 이해되었다.

그는 공기의 신으로도 불렸다. 안은 수메르의 신전에서 으뜸가는 신이었지만 엔릴이 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에너지와 힘을 체현한 신이지, 권위의 신은 아니었다. 엔릴의 제의 중심지는 니푸르에 있었다. 엔릴은 농업의 신이기도 했다. 괭이(Hoe)의 창조신화는 씨앗이 자랄 공간을 만들기 위해 엔릴이 어떻게 하늘과 땅을 나누었는가에 대해 묘사하고 있다. 그다음 그는 괭이를 발명하여 땅의 단단한 표면을 부셨으며, 사람들이 구멍에서 솟아나왔다. 다른 신화는 엔릴이 그의 배우자인 곡식의 여신 닌릴(Ninlil:아카드어로는 Belit)을 강간하여 지하세계로 추방되었다고 전한다.

이 신화는 토지의 비옥화, 곡식의 익음, 겨울 동안의 활동중지라는 농경의 주기를 반영하고 있다. 엔릴에 해당하는 아카드 신의 이름 벨은 셈어 바알('주인'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벨은 엔릴의 모든 속성을 가졌으며, 그의 지위와 제의는 엔릴의 그것과 거의 같다. 그러나 벨은 점차 통치자의 성격을 갖게 되었으며, 질서와 운명의 신으로 생각되기에 이르렀고 아이러니컬하게도 벨은 인간을 징벌할 수 있었기 때문에 아카드의 신화에서 벨은 인류에게 홍수를 내렸다고 한다. 바빌로니아의 신 마르두크는 아카드의 벨과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스의 작품에서 언급되는 벨은, 같은 이름을 가진 팔미라의 시리아 신을 가리키지 않고 이 바빌로니아 신을 가리킨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