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음운체계

다른 표기 언어 音韻體系

요약 한 언어가 가지는 음소들 상호간에 존재하는 유기적인 음운론적 관계.

흔히 모음체계와 자음체계 등의 하위체계의 기술을 복합시켜 한 언어의 음운체계로 삼는다. 한 언중(言衆)이 서로 대화할 수 있는 것은 공동의 음운체계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고, 각 음운이 독립된 음운으로 구별되는 것은 각 음운들 사이에 변별적 자질의 차이에 의한 대립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변별적 자질양순성전설성후설성후두성
정지성마찰성파찰성
장애성연음성p(ㅂ)t(ㄷ)s(ㅅ)č(ㅈ)k(ㄱ) 
경음성p'(ㅃ)t'(ㄸ)s'(ㅆ)č'(ㅉ)k'(ㄲ) 
기음성ph(ㅍ)th(ㅌ) čh(ㅊ)kh(ㅋ)h(ㅎ)
향성유음성 l(ㄹ)  
비음성m(ㅁ)n(ㄴ)ŋ(ㅇ) 
자음체계표

자음의 변별적 자질은 조음(調音) 위치에 따라서 양순(兩脣)·설단(舌端)·전설(前舌)·후두·비강(鼻腔) 등으로 나뉘고, 발음방법에 따라서는 장애음(障碍音)·향음의 차이, 연음성(軟音性)·경음성·기음성(氣音性)의 차이, 정지성·마찰성·파찰성의 차이 등이다. 또 하나의 변별적 자질에 의해 구별되는 몇 쌍의 음운이 대립적인 관계를 형성할 때 이를 상관(相關)이라 하는데, /ㅂ/:/ㅍ/, /ㄷ/:/ㅌ/ 등의 음운대립의 체계를 유기성(有氣性)의 상관이라 하고 /ㅂ/:/ㅃ/, /ㄷ/:/ㄸ/ 등의 음운대립의 체계를 후두긴장성의 상관이라 한다.

국어의 파열음·파찰음의 자음체계는 연음·경음·기음으로 변별되는 질서정연한 체계를 갖추고 있다.

모음체계표

표2. 모음체계표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모음에서는 혀의 위치를 변별자질로 할 때 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등으로 분류되며 입술모양에 따라서는 원순성(圓脣性)과 평순성으로 나뉜다. 또 /i/:/y/, /e/:/ö/, /j/:/u/, /ə/:/o/ 등의 4쌍이 원순성의 상관을 이루고 있다.

반모음 /y/의 변별적 자질은 혀의 최고점이 [i] 의 위치에서 다른 모음의 위치로 이동하는 과도에 있으며, /w/의 변별적 자질은 원순에서 평순으로 넘어가는 과도에 있다.→모음체계, 자음체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음운체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