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은코시

다른 표기 언어 Lewis Nkosi
요약 테이블
출생 1936. 12. 05, 남아프리카 공화국 나탈 더반
사망 2010. 09. 05,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국적 남아프리카 공화국
직업 작가·평론가·언론인·방송인

요약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작가·평론가·언론인·방송인.

은코시(Lewis Nkosi)

ⓒ Graham esaach/wikipedia | CC BY-SA 4.0

은코시는 줄룰란드 지방의 여러 학교를 전전하면서 초등교육을 받았다. 더반의 엠엘술탄고등기술교육대학을 1년간 다닌 뒤 1955년 줄루어(語)와 영어 공용의 주간 신문인 〈일랑가 라세 나탈 Ilanga lase Natal〉('나탈의 태양'이라는 뜻)에 취직하여 언론인으로서 첫발을 내디뎠다. 이어서 1956~60년에는 잡지 〈드럼 Drum〉과 같은 회사에서 발행하는 일요신문 〈골든 시티 포스트 Golden City Post〉에서 수석기자로 일했다.

요하네스버그 흑인 거주지역에서의 생활은 그의 평론의 주요한 바탕이 되었다. 그는, 대부분의 남아프리카의 흑인작가들이 명상적인 소설보다 저널리즘적인 소설을 즐겨 쓰는 것은, 그곳에서의 생활이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분리정책) 법률로 인해 너무 불안정하고 고통스러우며 비참해 명상적인 작품에 이끌릴 여유가 없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1961년 '니먼 펠로십' 장학금을 받아 하버드대학교에서 신문학(新聞學)을 연구했는데, 그때문에 남아프리카에서 추방당했다. 이때부터 그는 〈뉴 요커 The New Yorker〉를 비롯한 미국과 영국, 아프리카의 정기간행물에 기고했다.

그의 평론 중 다수가 〈고국과 추방 Home and Exile〉(1965)에 실려 있다. 1966년 다카르에서 열린 제1회 세계흑인예술축전에서 상을 받은 이 책은 아프리카 문학 연구자들의 교과서가 되었다.1960년대초 요하네스버그를 무대로 쓴 희곡 〈폭력의 리듬 The Rhythm of Violence〉(1964)에서는 인종문제를 이념과 실제의 양면에서 동시에 다루었다. .

1965~68년 〈뉴 아프리칸 The New African〉의 문예담당 편집자로 일했으며, 그 이전인 1962~65년에는 영국방송협회(British Broadcasting Cortporation/BBC) 라디오연속기획물인 〈바다 건너 아프리카 Africa Abroad〉를 제작했다. 또한 뉴욕 시의 전국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제작한 아프리카의 현대작가들을 다룬 연속기획물에서 주해설자로 활동했으며, 런던에서는 자유기고가로 일하기도 했다

은코시는 여러 편의 가극을 썼으며, BBC 라디오에서 1971년에 방송한 〈모두가 마틴 루터 킹이 될 수는 없다 We Can't All Be Martin Luther King〉라는 제목의 방송극을 만들었다. 그밖의 후기 저작으로 〈이식된 심장 The Transplanted Heart〉(1975)·〈일과 가면:아프리카 문학의 주제와 형태에 대하여 Tasks and Masks:Themes and Styles of African Literature〉(1981)에 수록된 남아프리카의 관계 논문들과 〈고국과 추방 외(外) Home and Exile and Other Selections〉(1983)에 수록된 글들이 있다.

1974년에 런던대학교에서, 1977년에는 서식스대학교에서 영문학학위를 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은코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