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즙분비

다른 표기 언어 lactation , 乳汁分泌

요약 젖은 유방 속에 있는 젖샘에서 만들어진다. 유즙분비는 호르몬의 변화 때문에 일어난다. 젖을 빨리면 프로락틴이나 그 외 다른 젖샘자극호르몬의 분비가 자극되고, 옥시토신의 분비가 자극되어서 젖이 나오게 된다.
옥시토신 분비에 장애가 생기면 젖 분비가 중단될 수도 있지만 수유에 실패하는 경우의 대부분은 스트레스 때문에 젖이 나오지 않는 경우다. 이런 문제들은 옥시토신 투여로 수유에 성공하면 대개 극복된다.
초유에는 단백질이 많고, 아기를 보호해주는 물질이 들어 있다. 초유는 출산 후 10일 정도가 되면서 점점 숙성한 젖으로 변화된다. 아이가 젖을 뗄 때가 되면 유즙분비가 서서히 줄어들다가 마침내 완전히 중단된다.

유즙분비(lactation)

ⓒ EngravingFactory/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젖은 유방 속에 있는 젖샘에서 만들어진다. 유즙분비는 호르몬의 변화 때문에 일어난다. 임신 기간 동안 젖샘이 발달하고 약간의 젖이 생기기도 하지만, 다량의 분비는 출산 이후에 일어난다. 젖을 주거나 젖을 빨리면 프로락틴이나 그외 다른 젖샘자극호르몬의 분비가 자극되고, 옥시토신(oxytocin:유방의 샘포 주위에 있는 근상피세포를 수축시키는 뇌하수체 호르몬)의 분비가 자극되어서 젖이 나오게 된다.

옥시토신 분비에 장애가 생기면 젖 분비가 중단될 수도 있다. 알코올은 뇌에 작용함으로써 젖 분비를 방해할 수 있다. 당황하거나 놀라게 되면 옥시토신이 분비되지 않아서 젖이 안 나올 수도 있다. 수유에 실패하는 경우의 대부분은 스트레스 때문에 젖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들은 옥시토신 투여로 수유에 성공하여 자신감을 얻으면 대개 극복된다.

아이가 젖을 뗄 때가 되면 유즙분비가 서서히 줄어들다가 마침내 완전히 중단된다. 젖을 떼는 시기는 정해져 있지 않다. 모유를 먹는 아이들의 수와 젖을 떼는 시기는 나라마다 다르고, 한 나라 안에서도 사회적·경제적 여건이나 지역에 따라 다르다. 생후 2개월 반 이내에 고형음식을 먹임으로써 얻게 되는 영양학적·심리학적 이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만삭이 되어 태어난 아기들은 생후 3개월까지는 전적으로 모유만 먹거나 적당하게 조제된 분유만 먹어도 무럭무럭 자랄 수 있다. 수유 초기에 나오는 젖인 초유(初乳)는 나중에 나오는 젖과 차이가 있다. 초유에는 단백질이 많고, 전염병으로부터 아기를 보호해주는 물질이 들어 있다(→ 항체). 젖에 들어 있는 2가지 성분, 즉 단백질의 일종인 카세인과 젖당은 인체의 다른 곳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초유는 출산 후 10일 정도가 되면서 점점 숙성한 젖으로 변화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인체

인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유즙분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