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윈강 석굴

다른 표기 언어 Yun-kang caves , 雲崗石窟
요약 테이블
위치 중국 산시 성 북부와 만리장성의 접경 부근
대륙 아시아
국가 중국
특징 유네스코 세계유산 (2001년)

요약 이 석굴들은 육조시대에 해당하는 5세기에 산시 성 북부와 만리장성의 접경 부근에 건축되었다. 윈강 석굴에는 중국 불교예술의 첫번째 개화기라고 할 수 있는 북위시대(386~534)의 유물들이 함께 있는데, 이것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불교예술의 유적이다.
부드러운 사암으로 이루어진 낮은 낭떠러지를 파서 대굴 21개, 중굴 20개, 무수한 소굴, 불감들을 만들었다. 이 가운데 몇 개는 높이 14m에 달하는 거대한 석가모니상을 둘러싸고 있는 방 같은 것이지만, 후실이 있는 석굴도 있다. 초기의 5개 석굴은 460년 무렵 당시의 사문통 담요가 주관하여 건립한 것이다. 석굴마다 들어선 거대한 불상은 북위 초기의 다섯 황제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로 보아 조정에서 불교를 정치에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석굴은 494년까지 30여 년에 걸쳐 만들어진 것이다.

윈강 석굴(Yun-kang caves)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이 석굴들은 육조시대에 해당하는 5세기에 산시 성[山西省] 북부와 만리장성의 접경 부근에 건축되었다. 윈강 석굴에는 중국 불교예술의 첫번째 개화기라고 할 수 있는 북위시대(386~534)의 유물들이 함께 있는데, 이것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불교예술의 유적이다(→ 중국미술).

부드러운 사암(砂岩)으로 이루어진 낮은 낭떠러지를 파서 대굴 21개, 중굴 20개, 무수한 소굴·불감들을 만들었다. 이 가운데 몇 개는 단순히 거대한 석가모니상(높이 14m)을 둘러싸고 있는 방 같은 것이지만, 후실(後室)이 있는 석굴도 있다.

초기의 5개 석굴은 460년 무렵 당시의 사문통(沙門統:종교장관) 담요가 주관하여 건립한 것이다. 이것은 이민족인 탁발씨(拓拔氏)가 세운 북위의 황제들이 446~452년의 불교탄압에 대한 속죄의 뜻으로 행한 조치들 가운데 첫번째 사업이었다. 석굴마다 들어선 거대한 불상은 북위 초기의 다섯 황제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로 보아 조정에서 불교를 정치에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석굴은 494년까지 30여 년에 걸쳐 만들어진 것이다.

494년 북위는 수도를 허난 성[河南省] 뤄양[洛陽]으로 옮겼으며, 이후 일련의 새로운 석굴사원을 룽먼[龍門]에 만들었다. 뛰어난 조각양식을 보여주는 수많은 조각상(가장 중요한 석가모니상과 상대적으로 수효가 적은 보조 불상)은 궁극적으로 인도의 불교예술에 기원을 둔 다양한 외래 예술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이곳에서 만들어진 이후의 주요작품에는 중국 고유의 양식과 형태에 근거를 둔 새로운 '중국양식'이 나타났다. 그러나 윈강 석굴을 첫번째 유형의 양식으로, 후기의 룽먼 석굴을 2번째 유형의 양식으로 규정짓는 것이 일반적이다.→ 룽먼 석굴, 북위조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윈강 석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