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다퉁

다른 표기 언어 Ta-t'ung , 大同
요약 테이블
위치 중국 북부 산시 성 북부
인구 3,406,400명 (2015 추계)
면적 14,056㎢
언어 중국어
대륙 아시아
국가 중국

요약 중국 산시 성의 북쪽 경계인 만리장성 바로 안쪽에 있는 시. 쌍간 강과 그 지류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비옥한 평야지대이다. 1세기 이후 중국은 이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빼앗겼다. 5세기 말엽에 수도를 후난 성 뤄양으로 옮겼다. 당대 초기에는 윈저우 현의 현청소재지가 되었다. 8세기에는 주군사령부라는 뜻에서 '다퉁'이란 이름을 처음 쓰게 되었다. 947년 화북·만주·몽골 지역을 지배했던 거란족에게 점령되었다. 현재 식품가공·제분·착유 등의 공업을 포함하여, 곡물·양모·피혁 등이 발달했다. 면적 14,056㎢, 인구 3,406,400(2015 추계).

산시, 다퉁(Shansi, Ta-t'ung)

ⓒ Chlukoe/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이곳은 쌍간 강[桑干河]과 그 지류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비옥한 평야지대이다.

역사

BC 2~1세기 한(漢)나라는 호전적인 유목민족 흉노족을 막기 위해 이 지역에 진(鎭)을 설치했다. 1세기 이후 중국은 이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빼앗겼고 3세기 후반에 잠시 되찾았을 뿐이다. 북위(北魏)를 세운 탁발(拓跋)부족은 화북(華北)지방 전체를 장악하게 되면서 이 지역을 수도로 삼았다(398). 5세기 말엽에 수도를 후난 성[湖南省] 뤄양[洛陽]으로 옮겼다. 421년 이곳에 성벽을 쌓았는데 외곽 성의 길이가 16㎞에 달했고, 수많은 중국인들이 북부 여러 지역으로부터 이곳에 강제이주되었다.

북위의 수도는 부유한 세입지(稅入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서 전쟁이 발생했을 때 물자보급이 어렵긴 했지만, 대단히 방대하고 호화로웠다. 이 시기에 궁궐과 관청이 지어졌고, 서쪽 근교에는 커다란 불교사원인 윈강[雲岡] 석굴이 세워졌다. 이 석굴은 독실한 불교신자였던 북위의 왕실사람들에 의해 세워진 것이다.

다퉁은 천도 이후 방치되어 더이상 발전하지 못했고, 그뒤로 여러 차례 이름이 바뀌었다. 당대(唐代:618~907) 초기에는 윈저우 현[雲州縣]의 현청소재지가 되었으나 당시에는 중국인 이주민이 군데군데 흩어져 살았을 뿐이다. 8세기에는 주군사령부라는 뜻에서 '다퉁'이란 이름을 처음 쓰게 되었는데, 군사적 식민지화라는 대계획의 중심지가 되었다.

947년 화북·만주·몽골 지역을 지배했던 거란족(만주의 원주민으로 우랄알타이어 계통)에게 점령되어 다시 한번 주요 행정중심지가 되었다. 거란족이 세운 요(遼:916~1125)와 그뒤를 이은 금(金)의 서쪽 수도가 되었고, 원대(元代:1271~1368)에는 다퉁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명(明:1368~1644)이 들어서고 한족(漢族)이 재집권하게 되면서 다퉁은 몽골족의 재침탈을 막기 위한 전략적 요충지가 되었다. 14세기 후반에 성벽이 재건되었고, 명대 이후에는 산시 성에 귀속되었다.

1912년에 다시 현의 지위를 되찾았다. 1914~28년에는 옌먼[雁門] 지역의 행정중심지였고, 제2차 세계대전 때 일본의 침공하에서는 진베이[晉北] 지구의 사령부가 있었다. 현대적인 도시로의 성장은 베이징[北京]·톈진[天津]까지 연결되는 철로가 놓여지면서 시작되었다. 이 철로는 1920~21년 서쪽으로 네이멍구 자치구[內蒙古自治區]의 후허하오터[呼和浩特]와 바오터우[包頭]까지 연장되었으며, 그 이후 타이안 선[太安線]으로 산시 성 중부와 남부까지 연결되었다.

1950년대에 이르러 간쑤 성[甘肅省]의 란저우[蘭州] 및 신장웨이우얼 자치구의 우루무치[烏魯木齊]까지 이어지는 서부선과 몽골·울란바토르·시베리아로 연결되는 북부선이 완공되자 다퉁의 비중은 한층 더 커졌다. 또한 네이멍구 자치구로 통하는 도로망의 중심지로, 중국변방의 농업인구와 네이멍구 자치구에 있는 우란차부[烏蘭察布], 시린골멍[錫林郭勒盟]의 몽골인들이 모이는 교역장소와 상업중심지가 되었다.

경제/문화

식품가공·제분·착유(搾油) 등의 공업을 포함하여, 곡물·양모·피혁·직물공업 등이 발달했다. 남서부에는 중국 최대 석탄산지 가운데 하나로 손꼽히는 탄전이 있다. 기계공업과 농기계 및 농기구 생산업의 중심지이며 대규모 시멘트 생산지이기도 하다.

다퉁에는 많은 건축물과 고적지들이 남아 있는데 이 가운데는 요·금 시대의 것도 있다. 윈강 석굴과 더불어 산화 사[善化寺]와 화옌 사[華嚴寺]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시의 북쪽에는 북위 개국황제인 도무제(道武帝)의 어머니 능묘가 있다.

지도
다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다퉁


[Daum백과] 다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