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리버모륨

다른 표기 언어 livermorium
요약 테이블
원자번호 116
원소기호 Lv
상태 고체
원자량 293
산화수 +6, +7
전자배열 2.8.18.32.32.18.6 또는 [Rn].5f14.6d10.7s2.7p4(폴로늄에 기반한 추정)

개요

칼슘에 퀴륨을 충돌시켜 생성한 원소. 2000년 러시아 연구팀이 합성했다. 주기율표상 116번째의 초우라늄 원소이다. 폴로늄과 화학적 성질이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2012년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이 이 원소의 이름을 리버모륨(livermorium)으로 명명하고 주기율표에 반영했다.

특징

2000년 러시아의 두브나 핵연구공동협회의 과학자들은 퀴륨(Cm)-248이 칼슘(Ca)-48과 반응할 때 원소 116의 원자가 만들어진다고 발표했다. 생성된 원소 116의 원자들은 질량이 292로, 알파입자(헬륨 핵)를 방출함으로써 붕괴되어 원소 114가 된다. 원소 116의 3개의 다른 동위원소가 알려져 있는데, 그중 가장 지속성이 긴 것은 질량 293으로서 53밀리세컨드의 반감기를 갖는다. 원소 116의 화학적 속성은 폴로늄과 유사한 것으로 추측된다.

116 livermorium (Lv) enhanced Bohr model

ⓒ wikimedia commons

명명

이 원소는 국제순수응용화학연맹(IUPAC)의 명명법에 따라 잠정적으로 우눈헥시움(Uuh)으로 명명되었는데, 이는 라틴어로 '1-1-6'을 의미했다. 2012년 IUPAC는 그동안 이 원소 뿐 아니라 새로운 원소 발견에 많은 공헌을 한 미국 로렌스리버모어 연구소의 소재지인 리버모어(Livermore)의 이름을 따서 이 원소의 이름을 리버모륨(Lv)이라고 명명했다. 2012년 5월 IUPAC은 리버모륨(livermorium)을 확정하고 주기율표에 추가했다. →주기율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화학

화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리버모륨(Livermorium)

미분류 원소

추천항목


[Daum백과] 리버모륨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