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원자번호 | 115 |
---|---|
원소기호 | Mc |
원자량 | 290 |
전자배열 | 2.8.18.32.32.18.5 또는 [Rn].5f14.6d10.7s2.7p3(비스무트에 기반한 추정) |
개요
아메리슘에 칼슘을 충돌시켜 생성한 원소. 2004년 미국과 러시아의 공동 연구팀이 합성했다. 주기율표상 115번째의 초우라늄 원소이다. 비스무트와 화학적 성질이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이 이 원소의 이름을 모스코븀(moscovium)으로 명명하고 주기율표에 반영했다.
특징
2004년 2월 1일 러시아의 두브나 핵연구공동협회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의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의 과학자들이 칼슘(Ca)-48과 아메리슘(Am)-243를 반응하여 원소115의 원자 4개를 검출했다. 원소 115의 두 동위원소들은 질량 287과 288로 생산되며, 이 동위원소들은 각각 46.6초와 19-280밀리세컨드에 붕괴한다. 원소 115가 붕괴할 때 알파 입자(헬륨 핵)를 방출하면서 원소 113이 되는데, 원소 113도 이때 처음 만들어졌다. 원소 115의 화학적 속성은 비스무트의 속성과 유사한 것으로 추측된다.
명명
이 원소는 국제순수응용화학연맹(IUPAC)의 명명법에 따라 잠정적으로 우눈펜튬(Uup)으로 명명되었는데, 이는 라틴어로 '1-1-5'를 의미했다. 2016년 IUPAC는 그동안 이 원소 뿐 아니라 새로운 원소 발견에 많은 공헌을 한 러시아 두브나 연구소의 소재지인 모스크바의 이름을 따서 이 원소의 이름을 모스코븀(Moscovium)이라고 명명했다. 2016년 11월 IUPAC은 모스코븀(Mc)을 확정하고 주기율표에 추가했다. →주기율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