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원성왕

다른 표기 언어 元聖王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798(원성왕 14)
국적 통일신라, 한국
재위 785년∼798년
능묘 경주 원성왕릉(慶州 元聖王陵)

요약 신라 제 38대 왕이자 내물마립간의 12대손으로, 이름은 경신. 선덕왕이 후사 없이 죽자 왕위에 사람들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으며 이때부터 왕실 친족집단에 의한 권력장악의 틀이 수립되었디. 왕과 왕자를 중심으로 좁은 범위의 근친 왕족들이 상대등, 병부령, 재상 등의 요직을 장악했으며, 이들이 그 뒤 왕위를 이었기 때문에 하대 원성왕계로 불린다. 독서3품과를 설치해 관리를 등용하고 발해와 통교했다. 불교에도 관심이 많아 785년 승관을 두었으며, 795년에는 봉은사를 창건했다.

개요

신라 제38대 왕(재위 785∼798년). 성은 김(金), 이름은 경신(敬信, 敬愼, 敬則)이다. 내물왕의 12대손으로 아버지는 일길찬 효양(孝讓)이며, 어머니는 계오부인 박씨(繼烏夫人朴氏:또는 知烏夫人朴氏)이다. 비(妃)는 김씨로 각간 신술(神述)의 딸이다.

780년 김지정의 난을 뒤에 선덕왕이 된 김양상과 같이 평정한 뒤 상대등이 되었다. 선덕왕이 후사 없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원성왕 때부터 신라 하대 정치의 특징인 왕실친족집단의 권력장악이 이루어졌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당서(唐書)> 등에 관련 기록이 남아 있다.

초기 생애

780년(혜공왕 16)에 김양상(金良相)과 함께 김지정(金志貞)의 난을 평정하고 혜공왕을 죽인 뒤, 김양상이 선덕왕으로 즉위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상대등에 임명되었다. 그뒤 선덕왕이 자식 없이 죽자 김주원(金周元)과 왕위다툼을 하게 되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김주원의 집은 서울 북쪽 20리에 있었고 그때 마침 큰 비가 내려 알천의 물이 불어서 주원이 건너오지 못했는데, 사람들이 말하기를 "인군(人君)의 큰 자리는 본래 인모(人謀)로 되는 것이 아니다. 오늘의 폭우는 하늘이 혹시 주원을 내세우지 못하게 함이 아닌가? 지금 상대등 경신은 전왕의 동생으로 본래 덕망이 높고 인군의 자격이 있다"고 하여 만장일치로 그를 세워 왕위를 계승하게 하니 얼마 안 있어 비가 그치고 백성들이 모두 만세를 불렀다고 한다.

〈삼국유사〉에는 당시 김경신보다 서열이 높은 김주원이 왕위에 추대되었는데, 김경신이 복두를 벗고 흰 갓을 쓴 뒤 십이현금(十二絃琴)을 들고 천관사 우물 속으로 들어가는 꿈을 꾸었고, 아찬 여삼(餘三)의 해몽을 따라 북천신(北川神)에게 제사를 올렸더니 알천의 물이 불어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는 설화가 전한다.

주요 업적

왕위에 오른 경신은 고조부 법선(法宣)을 현성대왕(玄聖大王), 증조부 의관(義寬)을 신영대왕(神英大王), 할아버지 위문(魏文)을 흥평대왕(興平大王), 아버지 효양을 명덕대왕(明德大王), 어머니를 소문태후(昭文太后)로 추봉하고, 아들 인겸을 왕태자로 삼았다. 그리고 성덕대왕(聖德大王)과 개성대왕(開聖大王:선덕왕의 생부)의 2묘(二廟)를 없애고, 시조대왕(始祖大王:味鄒尼師今)·태종대왕(太宗大王:武烈王)·문무대왕(文武大王)·흥평대왕·명덕대왕을 5묘(五廟)로 했다. 785년(원성왕 1) 총관(摠管)을 도독으로 바꾸었고, 788년 독서3품과를 설치해 관리를 등용했다.

790년 벽골제를 증축하고 발해와 통교했다. 원성왕 때 와서 신라 하대 권력구조의 특징인 왕실친족집단에 의한 권력장악의 틀이 확립되기 시작했다. 왕과 왕자를 중심으로 좁은 범위의 근친 왕족들이 상대등·병부령·재상 등의 요직을 장악했으며, 이들이 그뒤 왕위를 이어서 하대 원성왕계로 불린다. 불교에도 관심이 많아 785년 승관(僧官)을 두었으며, 795년에는 봉은사(奉恩寺, 또는 報恩寺)를 창건하고 망덕루(望德樓)를 세웠다.

798년 12월 왕이 죽으니 시호를 원성(元聖)이라 하고, 유명(遺命)에 따라 시신을 봉덕사(奉德寺) 남쪽에서 화장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원성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