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상징적인 그림들을 모아놓은 책.
보통 운문으로 된 경구와 해설이 곁들여지며 산문으로 된 해설이 나오는 경우도 많다. 중세 알레고리와 동물지에서 유래된 우화집은 16세기에 이탈리아에서 삽화문학 장르로 발전했으며 17세기에는 서부 유럽 전역에 퍼졌다.
우화 문학의 아버지는 16세기 이탈리아 법률가·인문주의자였던 안드레아 알치아토이다. 그의 작품 〈엠블레마타 Emblemata〉(라틴어판, 1531)는 번역되어 150판 이상 발행되었다.
플란틴 출판사는 우화 문학을 전문적으로 출판하여, 1565년 안트웨르펜에서 헝가리의 의사·역사가인 요한네스 삼부쿠스의 〈엠블레마타〉와, 1565년 네덜란드에서 의사인 하드리아누스 유니우스(아드리안 데 용헤)의 〈엠블레마타〉, 레이덴에서 영어로 된 초기 우화집으로 알치아토와 유니우스를 비롯한 여러 사람의 우화를 모아 엮은 제프리 휘트니의 〈우화선집 Choice of Emblemes〉(1585) 등을 펴냈다. 영어로 된 우화집은 네덜란드에서 출판되거나 영어글과 외국 그림을 조합하여 만들어졌는데, 네덜란드 초기의 중요한 우화집인 옥타비우스 바이니우스(오토 반 벤)의 〈사랑의 우화 Amorum Emblemata, Figuris Aeneis Incisa〉(1608)의 영어판이 그런 예이다.
네덜란드는 우화집 유행의 중심지가 되었다. 바이니우스의 〈사랑의 우화〉는 오비디우스를 비롯한 고대 로마의 여러 성애(性愛) 시인의 은유를 그림으로 나타내 실었다. 네덜란드의 우화집은 여러 나라에서 번역되고 표절되고 다른 글과 그림으로 재판되었다.
다국어판으로 된 우화집이 나오면서부터 우화집 출판은 국제적인 사업이 되었는데, 네덜란드어와 라틴어, 뒤에는 프랑스어까지 곁들인 헤인시우스의 시집이 그 효시였다. 연인들은 사랑의 우화집을 주고 받았으며, 사랑의 우화집은 르네상스 시대 전반에 걸쳐 여러 학회의 학구적인 오락거리였던 '사랑의 문제들'에 대한 작은 백과사전 노릇을 했다.
한편 네덜란드의 우화 제작가들은 종교적인 우화로 방향을 바꾸어, 우화를 포교의 수단으로 삼았던 예수회 수사들과 칼뱅주의자들을 도왔다. 바이니우스의 〈신의 사랑에 관한 우화 Amoris Divini Emblemata〉(1615)에는 오비디우스의 시구 대신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글이 인용되었고 큐피드가 영혼의 교사로 다시 나오고 있다.
폭넓은 인기를 얻었던 유일한 영어 우화집은 프랜시스 퀄즈의 〈우화집 Emblemes〉(1635)으로, 인기있는 예수회 우화집이었던 〈경건한 소원 Pia Desideria〉·〈세계상(像) Typus Mundi〉(1627)에 나오는 그림들을 싣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