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우스만 이븐 아판

다른 표기 언어 'Uthman ibn 'Affan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656. 6. 17, 아라비아 반도 메디나
국적 이슬람

요약 예언자 마호메트 사후 그를 계승한 제3대 칼리프.

칼리프 통치를 중앙집권화했고 〈코란〉의 정본을 편찬하게 했다.

우스만은 이슬람사에서 혹평을 받는 중요한 인물이다. 그가 죽은 후 이슬람 공동체내의 종교적·정치적 분쟁이 공개적으로 시작되었다(→ 피트나).

우스만은 메카의 부유하고 권력있는 우마이야 가문에서 태어나 부유한 상인이 되었다. 615년경 마호메트가 메카에서 설교를 시작했을 때 마호메트는 우마이야 가문의 적개심을 야기시켰다. 그러나 약 5년 후 우스만은 마호메트를 받아들임으로써 사회적·경제적 지위가 있는 인물 중 첫번째 개종자가 되었다.

마호메트는 메카의 귀족계급과의 교제를 소중하게 생각했으며 그의 딸을 우스만과 결혼시켰다. 그러나 우스만은 힘을 행사하거나 적극적으로 주도권을 잡지는 않았다. 이슬람사 원년에 그의 역할은 소극적이었다.

제2대 칼리프인 우마르가 644년에 사망하자 우스만은 우마르가 죽기 전에 조직해놓은 선출위원회에서 우마르의 후계자로 선출되었다. 우스만이 뽑힌 것은 일종의 타협점이었음이 명백하다. 그때 강력한 후보들이 경쟁을 통해 서로를 배제시켰기 때문이다.

또한 우스만은 우마이야 가문을 대표하고 있었다. 이 가문은 예언자 마호메트 생존시 세력이 약간 약해졌으나 다시 그 영향력을 획득하고 있었다.

칼리프가 되자 우스만은 그때까지 여러 종류가 전해지던 〈코란〉의 정본을 반포했다. 우스만은 우마르가 실시했던 일반 정책들을 그대로 실행했으나 우마르만큼 강한 면은 보이지 못했다. 우마르는 이슬람 제국의 넓이를 꾸준히 확장시킨 정복 사업을 계속했으나 이제는 그 승리를 얻기 위해 치른 값이 승리의 보상으로 돌아온 전리품보다 적어졌다.

우스만은 마호메트하에서부터 나타났던 부족간의 느슨한 동맹관계를 대신할 결속력 있는 중앙권력제를 만들려고 노력했다. 우스만은 토지를 매개로 한 봉건제도를 만들었으며 자기 가문의 사람을 지방 총독의 자리에 앉혔다. 이렇게 되자 중앙 정부가 받아들인 많은 재물이 군대로 가지 않고 우스만 가족들과 지역 총독들에게로 갔다. 이러한 정책 때문에 군대의 반발을 사게 되었고, 또한 가족이건 부족이건 상관 없이 총독들에게 막중한 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우마르와는 달리 그의 친척들의 힘에 압도되었다. 650년이 되자 이집트와 이라크 지방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655년 일단의 이집트 불만 분자들이 칼리프 권력의 중심지인 메디나로 진군해왔다. 그러나 우스만은 그들을 회유하여 이집트로 돌려보냈다. 그러나 얼마 후 또 다른 반란군들이 우스만의 집을 포위하여 며칠간 계속된 산발적인 싸움 끝에 우스만은 살해당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우스만 이븐 아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