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용인시의 연혁

다른 표기 언어

지금의 용인시는 옛 용인현(龍仁縣)·양지현(陽智縣), 그리고 죽산도호부(竹山都護府)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진 시이다. 옛 용인현은 삼국시대에 백제의 멸오현(滅烏縣)이었다가 신라의 삼국통일 후 757년(경덕왕 16)에 거서현(巨黍縣)으로 이름을 바꾸고 한주(漢州:廣州)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용구현(龍駒縣)으로 개칭했으며, 1018년(현종 9)에 광주의 속현으로 병합되었으나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했다가 뒤에 현으로 승격했다. 조선에 들어 1413년(태종 13)에 처인현(處仁縣)과 병합, 두 고을의 이름을 따 용인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지방제도 개정에 의해 1895년에 충주부 용인군, 1896년에 경기도 용인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에 의해 양지군 일원과 죽산군 일부가 편입됨으로써 면적이 크게 넓어졌다. 용인군의 수여면·포곡면·모현면은 그대로, 동변면·읍내면이 읍삼면으로, 수진면·지내면이 수지면으로, 기고면·판내면·구흥면이 기흥면으로, 서촌면·도촌면·남촌면·현내면이 남사면으로, 상동면·하동면이 이동면으로 통합되었다. 이때 양지군이 폐지되고 양지군의 주동면·주북면·읍내면·주서면이 내사면으로, 고북면·고동면·고사면이 고삼면으로, 죽산군의 근삼면·근일이면, 양지군의 박곡면·고안면이 외사면으로, 죽산군의 원삼면·원일면이 원삼면으로 폐합되었다. 1931년에 읍삼면은 구성면으로, 1937년에 수여면은 용인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63년 고삼면은 안성군으로 편입되었다. 1979년에 용인면이, 1985년에 기흥면이 읍으로 승격했다.

1996년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되면서 수지면이 읍으로 승격하고 용인읍은 폐지되어 중앙동·유림동·역삼동·동부동 등의 4개 행정동으로 분할되어 10개 법정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때 내사면이 양지면으로, 외사면이 백암면으로 지명이 바뀌었다. 2000년에 구성면이 구성읍으로 승격되었고, 2001년 수지읍이 수지출장소로 승격되어 6개동 사무소가 신설되었다. 2005년 처인구·기흥구·수지구 3개 구청을 설립했다. 2007년 동백동이 신설되었고, 2010년에는 영덕동이 신설되었다. 2017년 모현면과 이동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양지현, 죽산도호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기도

경기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용인시의 연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