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왕권신수설

다른 표기 언어 divine right of kings , 王權神授說

요약 왕권신수설은 선사시대부터 시작된 신정설에 바탕을 둔 것으로서, 이 신정설은 통치자를 초자연계의 신성하고 거룩한 존재의 화신 또는 대리인으로 파악하며, 고대의 중동과 극동, 헬레니즘과 유럽 문명, 콜럼버스 이전의 중앙 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 널리 퍼져 있었다. 유럽에서 왕권신수설의 기원은 신이 교회에 정신적 권력을 부여한 것처럼 통치자에게는 세속적 권력을 주었다고 생각한 중세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17세기말과 18세기에도 프랑스의 루이 14세 같은 왕들은 여전히 왕권신수설을 통해 많은 이득을 보았으나, 그들 대부분은 이미 왕권신수설에 대해 진정한 종교적인 믿음을 갖고 있지 않았다. 미국 독립혁명과 프랑스 혁명 및 나폴레옹 시대를 거치면서 이 주장에 그나마 남아 있던 약간의 신뢰성마저 대부분 빼앗겼다.

찰스 1세(Charles I )

찰스 1세의 왕관을 하느님의 손으로 이동하는 것을 표현, 왕권신수설을 상징하는 그림.

ⓒ DcoetzeeBot / wikipedia | Public Domain

왕은 신으로부터 권력을 받았기 때문에 의회 같은 지상의 권력이 왕의 행동을 견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왕권신수설은 선사시대부터 시작된 신정설(神政說 sacred kingship)에 바탕을 둔 것으로서, 이 신정설은 통치자를 초자연계의 신성하고 거룩한 존재의 화신 또는 대리인으로 파악하며, 고대의 중동과 극동, 헬레니즘과 유럽 문명, 콜럼버스 이전의 중앙 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 널리 퍼져 있었다. 신정설의 기본 유형은 3가지로, 첫째, 초자연적이거나 신성한 권력자를 인정하는 경우, 둘째, 신성한 또는 반신성한 통치자를 인정하는 경우, 셋째, 신의 대리인을 인정하는 경우이다. 신정설은 주로 종교적인 관념과 결합하여 통치자에게 통치의 정당성을 부여했다.

고대 이집트 문명이나 멕시코의 여러 문명에서 이러한 경우를 찾아볼 수 있으며, 근대 유럽에서는 그리스도교와 결합한 왕권신수설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유럽에서 왕권신수설의 기원은 신이 교회에 정신적 권력을 부여한 것처럼 통치자에게는 세속적 권력을 주었다고 생각한 중세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러나 16, 17세기에 이르자 새로 등장한 군주들은 국가뿐 아니라 교회 문제에서도 자신의 권한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영국의 제임스 1세(1603~25 재위)는 왕권신수설의 선두 제창자였으나 1688년에 명예혁명이 일어난 뒤 왕권신수설은 영국 정치에서 사실상 모습을 감추었다.

17세기말과 18세기에도 프랑스의 루이 14세 같은 왕들은 여전히 왕권신수설을 통해 많은 이득을 보았으나 그들 대부분은 이미 왕권신수설에 대해 진정한 종교적인 믿음을 갖고 있지 않았다. 미국 독립혁명과 프랑스 혁명 및 나폴레옹 시대를 거치면서 이 주장에 그나마 남아 있던 약간의 신뢰성마저 대부분 빼앗겼다. 프랑스 왕권신수설의 중요한 이론가인 자크 베니뉴 보쉬에(1627~1704) 주교는 왕의 인격과 권위는 신성하며, 왕의 권한은 아버지의 권한을 본보기로 한 것이고(가부장제의 주장), 왕의 권력은 신에서 나온 것이므로 절대적이며, 왕은 이성(즉 관습과 전례)의 지배를 받는다고 주장했다. 영국 왕당파인 로버트 필머 경도 마찬가지로 〈부권정치 Patriarcha〉(1648)에서 국가는 하나의 가정이며 왕은 아버지라고 주장했지만, 성서를 해석하면서 인류 최초의 왕은 아담이고 찰스 1세는 아담의 상속자로서 영국을 통치한다고 주장했다. 철학자 존 로크는 이런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절대주의에 반대하는 〈통치론 First Treatise of Civil Government〉(1689)을 썼다.

루이 14세(Louis XIV)

태양왕으로 묘사된 루이 14세의 모습

ⓒ Beao / wikipedia | Public Domain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왕권신수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