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24. 12. 28, 우간다 랑고 아코로코빌리지 |
---|---|
국적 | 우간다 |
요약 우간다의 정치가.
1962~71년 신생 독립국인 우간다의 동아프리카 공화국 총리와 1980~85년 우간다의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1962년 우간다 독립에 기여했으나 10년이 안 되어 군사 쿠데타로 실각했다. 1980년 재선되어 대통령에 취임했는데, 이로써 그는 쿠데타에 의해 쫓겨났다가 다시 대통령이 된 최초의 아프리카 정치지도자가 되었다. 그러나 1985년 또다시 군사 쿠데타에 의해 권좌에서 밀려났다.
농부의 아홉 자녀 중 셋째로 태어난 그는 처음에 므위리에 있는 부소가대학을 다녔고, 그후 1948~49년 캄팔라에 있는 마케레레대학을 다녔으나 정치활동에 참여했기 때문에 졸업 직전 퇴학당했다.
또한 식민지 정부는 미국과 서독(지금의 독일)이 그에게 주는 장학금을 받지 못하도록 했다. 결국 그는 1950년 케냐로 건너갔다. 그곳에서 노동자·점원·판매원 등으로 일하면서 독립운동을 벌였고 케냐 아프리카 연맹에 가입했다. 1957년 우간다로 돌아온 그는 우간다 민족회의당에 입당했다. 1958년 입법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어 아프리카인 대표들이 소수를 이루고 있는 의회에서 영국 정부에 대한 비난을 주저하지 않았다.
민족회의당이 분열되자 그가 이끄는 민족회의당 일파와 우간다 인민동맹(Uganda People's Union/UPU)이 연합하여 우간다 인민회의(Uganda People's Congress/UPC)를 형성했다. 이 UPC의 주요목적은 우간다 내에 강력한 부간다가 계속해서 별개의 국가로 남아 있는 것에 반대하는 것이었는데, 부간다는 당시 무테사 2세가 통치하고 있었다.
1961년 우간다 연방의 일부로 남고자 하는 부간다의 희망을 받아들임으로써 타협했으며, UPC는 부간다의 카바타 예카당과 동맹을 형성했다. 그러나 1966년 그와 부간다 사이의 갈등은 절정에 달했고 마침내 오보테가 군대를 일으켜 무테사의 궁전을 공격하자 무테사는 영국으로 도주했다. 이후 그는 독립된 부간다 정부를 해산하고 중앙집권화 정책을 실시하여 부간다의 지배세력을 분쇄하고자 했다. 자신의 통치권을 합법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1967년 새 헌법을 채택했으며 먼 지역까지 순회연설을 다녔다. 자신의 지지기반을 확대시키기 위한 이러한 시도는 1968년까지 계속되었으나 부간다 지역만은 순회연설 대상지에서 제외되었다.
1969~70년 '보통사람 헌장'에 '좌측통행' 조문을 삽입하면서 우간다의 정치문화를 쇄신하려고 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정적인 부간다 충성파와 연합한 군사지도자들의 반발을 야기했다. 1971년초 그의 정부는 이디 아민 소령이 이끄는 쿠데타 세력에 의해 전복되었다.
아민 정권은 1979년 우간다 민족군과 줄리어스 니에레레 대통령의 지휘를 받는 탄자니아군에 의해서 와해되었다. 새롭게 형성된 우간다 민족해방전선은 유수푸 K. 룰레 대통령인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여러 차례에 걸쳐 대통령이 바뀐 후 새로운 선거가 실시되었다. 1980년 5월 망명지에서 귀국한 오보테는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조직할 수 있었는데 이 조직은 그해 12월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오보테를 대통령으로 당선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다시 정권을 장악한 그는 다당제 의회민주주의 국가를 수립했으며, 지속적인 경제 발전을 이룩했다.
그러나 그의 정부는 게릴라의 공격으로 고통받고 있었고, 이에 맞서 정부군은 과격하고 무차별한 보복행위를 했는데 대통령인 그도 이를 통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오보테 정부는 국내와 국외 모두에서 심한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 1985년 아촐리족 출신으로, 아민 정권을 전복시키는 데 기여한 바실리오 올라라 오켈로가 지휘하는 군대에 의해 대통령직에서 축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