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오르한

다른 표기 언어 Orhan
요약 테이블
출생 1288
사망 1360
국적 오스만

요약 오스만 제국을 창건한 오스만 1세의 아들이며 오스만 왕조의 2번째 통치자.
Orkhan이라고도 쓰며 Orhan Gazi라고도 함.

오르한의 재위(1324~60)중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오르한의 지도하에서 아나톨리아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던 이 조그만 오스만 공국은 주변의 투르크 에미레이트들로부터 비잔티움에 대항해 싸울 가지(이슬람교 전사)들을 계속 끌어들였다.

1324년에는 비잔틴의 한 도시인 브루사(후에 부르사)가 오스만의 수중에 들어갔으며 뒤이어 1331년에는 니케아(지금의 이즈니크)가, 1337년에는 니코메디아(지금의 이즈미트) 역시 같은 운명을 밟았다. 인근 투르크멘 국가들에 주의를 돌린 오르한은 왕실 분쟁으로 약화된 카라시 공국을 합병했다(1345경). 그리고 아나톨리아의 가장 북서쪽 오지에까지 지배력을 확대했다. 1346년 오스만 왕조는 후에 비잔틴 황제가 된 칸타쿠제누스 요한네스 6세의 주요동맹국이 되어서 발칸으로 진주함으로써 그의 경쟁자 팔라이올로구스 요한네스 5세에게 대항했다.

요한네스 6세의 동맹자로서 오르한은 요한네스의 딸인 테오도라와 결혼했으며 발칸 지역을 기습할 권리를 획득했다. 그의 원정으로 오스만인들은 이 지역에 대한 자세한 지식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1354년 오스만인들은 갈리폴리를 장악하여 유럽 지역의 항구적인 발판으로 삼았다.

오르한의 재위중에는 또한 오스만 공국을 강대국으로 성장시킨 제도들이 시행되기 시작했다. 1327년 최초의 오스만 은화가 오르한의 이름으로 주조되었으며 아나톨리아에 대한 정복이 강화되었고 군부대는 좀더 상비군적인 성격으로 재조직되었다. 마지막으로 오르한은 새로 정복한 도시들, 특히 오스만의 수도인 부르사에 모스크(이슬람 사원)와 마드라사(신학교), 대상들의 숙박소를 세웠는데 부르사는 나중에 이슬람의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오르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