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예천군의 교육기관, 문화시설, 의료시설, 복지시설 현황.
전통 교육기관으로 조선시대의 예천향교·용궁향교·미산학사 등이 있었다. 최초의 근대 교육기관은 1907년에 예천읍 서본리에 세워진 예천초등학교이다. 2025년 기준 유치원 14개소, 초등학교 12개소, 중학교 9개소, 고등학교 3개교와 국립경국대학교 예천캠퍼스가가 있다.
문화시설로는 1976년에 세워진 예천문화원에서 예천문화제를 비롯한 이 지역 문화행사를 주관하며, 〈예천문화〉를 발간하고 있다. 그밖에 예천공설운동장과 학생체육관이 있으며, 도립예천공공도서관 1개소가 있다. 문화행사로는 1977년부터 매년 9~10월에 예천문화원 주최로 예천문화제가 열린다. 이 행사에는 이 고장 고유의 민요인 <공처농요>·<통명농요>의 재현과 청단(靑丹)놀음을 비롯해 농악경연대회, 널뛰기·제기차기·국궁대회 등이 행해지며, 지역문화계승과 주민의식통합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 고장에는 전통문화가 비교적 잘 전승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동제이다. 특히 유천면 고림리, 지보면 도장리, 호명읍 오천리, 예천읍 통명리 등에서는 정월 보름날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는 동제를 지낸다. 주요 민속놀이로는 활쏘기, 탈놀이의 일종인 청단놀음, 제애밝기, 도해따기 등이 있다.
구전되고 있는 민요는 주로 농업노동요인데, 특히 예천읍 통명리의 중요무형문화재 제84호로 지정된 <통명농요>는 그 가락이 매우 독특하며,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0호인 <예천공처농요>는 민요의 원시형태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예로부터 활과 화살을 만드는 고장으로 유명한데 궁시장(弓矢匠) 권영학(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6호)이 이를 계승하고 있다. 전래되는 설화로는 <용문면 박정시의 자명금설화>, 감천면 석평마을의 <석송령에 얽힌 설화> 등이 있다.
2017년 기준 의료기관으로는 병원 1개소, 의원 16개소, 요양병원 2개소, 치과병원 10개소, 한의원 9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27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353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6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2개소, 장애인복지생활시설 2개소, 어린이집 30개소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예천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