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97(광무 1) |
---|---|
사망 | 1970 |
국적 | 대한제국 |
요약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고종의 7째 아들이다. 1900년 영왕에 봉해졌고, 1907년 순종황제 때 황태자가 되었으나, 강제로 일본 유학길에 올라 일본에 인질이 되었다. 국권을 빼앗긴 후에는 세제로 강등되었고 1920년 일본의 왕족과 강제로 결혼했다. 순종이 죽은 후, 왕이 되었으나 역사적으로는 왕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해방 이후 1963년까지 일본에 있었으며, 귀국 당시 이미 건강이 악화되어 별다른 활동은 없었다.
본관은 전주. 이름은 은(垠). 고종의 일곱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귀비 엄씨이다. 순종과는 이복형제간이다. 1900년(광무 4) 8월 영왕에, 1907년(융희 1) 황태자에 책봉되었다.
1907년 12월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통감에 의해 유학이라는 명목으로 일본에 인질로 잡혀갔다. 1910년 국권이 일제에 의해 강탈되면서 융희황제(隆熙皇帝:뒤의 순종)가 이왕(李王)으로 폐위되자, 그도 황태자에서 왕세제(王世弟)가 되었다. 1920년 일본의 흡수정책에 따라 일본 왕족 나시모토노미야[梨本宮]의 딸 마사코[方子]와 정략결혼을 했다. 1926년 순종이 죽자 형식상으로 왕위계승자가 되어 이왕이라고 불렸다.
일본에 억류되어 있는 동안, 일본 육군사관학교·육군대학을 거쳐 육군중장을 지냈다. 1945년 일제가 패망하자 귀국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그뒤 1963년까지 일본에 머물렀다. 1963년 국적을 회복하고 귀국했으나 귀국 당시 이미 뇌혈전증으로 인한 실어증에 걸려 있는 상태였다. 무덤은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에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