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식물 기관의 하나로 꽃이 진 후에 나는 것. 열매가 만들어질 때 씨방 속에 들어 있던 밑 씨도 씨로 되는데, 씨와 열매는 식물에게는 자손을 멀리 퍼뜨리는 수단으로서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사람을 비롯한 여러 동물에게는 중요한 먹이가 되고 있다. 특히 사람들은 식물의 열매를 중요하게 쓰고 있는데 쌀, 보리, 밀 등은 주식으로, 사과, 배, 감 등은 과일로 먹는다. 그리고 목화나 아마에서는 섬유를 얻고 있으며 후추, 고추는 조미료로, 구기자, 오미자 등의 열매는 약으로 쓰고 있다.
개요
꽃이 진 후에 씨앗을 품거나 품지 않고 나는 식물 기관의 하나. 열매가 만들어질 때 씨방 속에 들어 있던 밑씨도 씨로 되는데, 씨와 열매는 식물에게는 자손을 멀리 퍼뜨리는 수단으로서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사람을 비롯한 여러 동물에게는 중요한 먹이가 되고 있다. 특히 사람들은 식물의 열매를 중요하게 쓰고 있는데 쌀·보리·밀 등은 주식으로, 사과·배·감 등은 과일로 먹는다. 그리고 목화나 아마에서는 섬유를 얻고 있으며 후추·고추는 조미료로, 구기자·오미자 등의 열매는 약으로 쓰고 있다. 대개 열매 속에는 씨가 있으나 씨 없는 포도나 수박처럼 그렇지 않은 열매도 있는데, 이러한 열매는 자연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먹기 편하도록 만든 것도 있다. 사람들이 즐겨 먹는 과일 중에는 위과가 많은데, 사과·배 등이 대표적이다.
종류
식물이 만들어낸 열매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즉 크게 씨방만 자라서 된 진과(眞果)와 꽃받기나 꽃받침이 함께 자라서 된 위과(僞果)로 나누며 다시 진과는 과육이나 과즙이 없는 건과(乾果)와 그렇지 않은 육질과(肉質果)로, 위과는 1개의 열매로만 된 것과 여러 개의 열매가 뭉쳐서 하나의 열매처럼 보이는 것으로 분류된다.
건과는 씨가 하나만 또는 여러 개 들어 있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1개의 씨만 들어 있는 것으로 열매가 터지지 않고 하나로 되어 멀리 퍼지기 때문에 열매와 씨를 구분하기가 어렵다.
① 수과(瘦果):씨 껍질과 열매 껍질이 서로 떨어져 있으며 민들레가 대표적이다.
② 시과(翅果):열매 껍질 일부가 날개로 변하여 바람에 날린다. 대표적인 식물로 단풍나무가 있다.
③ 견과(堅果):단단한 열매 껍질 속에 씨가 들어 있으며, 밤나무·참나무류·호두나무에서 볼 수 있다.
④ 영과(潁果):씨 껍질과 열매 껍질이 서로 붙어 씨와 열매를 구분하기가 어려우며, 벼·옥수수 등이 대표적이다.
둘째, 씨가 여러 개 들어 있는 것으로 열매가 터져 속에 들어 있는 씨만이 멀리 퍼진다.
① 협과(莢果):열매 껍질이 양쪽으로 말리면서 벌어져 씨가 멀리 퍼지며 대표적인 식물로는 콩이 있다.
② 삭과:열매가 갈라지거나 구멍이 생겨 씨가 멀리 퍼져 나가며 진달래·철쭉 등에서 볼 수 있다.
육질과(肉質果)는 장과(漿果)·핵과(核果)·감과(柑果) 등으로 나뉜다.
① 장과:과즙 속에 씨가 들어 있으며 버찌·포도·머루 등이 대표적이다.
② 핵과:과육 속의 단단한 핵 속에 씨가 있으며 복숭아·자두 등이 대표적이다.
③ 감과:과육이 여러 개의 방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귤·밀감 등이 대표적이다.
위과에는 첫째, 1개의 열매로만 된 것으로 이과(梨果)가 있는데, 과육은 꽃받기가, 씨를 둘러싸는 단단한 핵은 씨방벽이 자라서 된 것으로 배와 사과가 대표적이다. 둘째, 여러 개의 열매가 뭉쳐서 하나의 열매처럼 보이는 것으로 다핵과(多核果)와 취과(聚果) 등이 있다.
다핵과는 많은 열매가 서로 모여 있으며, 뽕나무·파인애플·무화과 등에서 볼 수 있다. 취과는 많은 열매가 서로 떨어져 있으며(예를 들면 딸기의 경우 씨처럼 보이는 것이 하나의 열매임), 딸기·복수초 등이 대표적이다.
과일은 흔히 채소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사람들이 즐겨 먹는 나무의 열매만을 뜻하는데 이를 과실(果實)이라고도 하며, 풀에서 맺히는 열매는 과채(果菜)라고 부른다. 오래 전부터 세계 곳곳에서는 과일을 먹어왔는데, 이들 중 일부가 품종 개량을 통해 재배되고 있다. 현재는 세계적으로 약 3,000종류의 과일이 식용되며 이중 300여 종은 재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열매
한국에서는 1906년 서울 뚝섬에 원예시험장이 설립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과일의 품종 개량에 힘써왔는데, 널리 재배되는 과수로는 사과·배·복숭아·포도·귤·감·밤·자두·살구·매실 등이 있다. 이밖에 호두·대추·개암 등을 산과 들에서 수확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최근 외국에서 들여온 구즈베리·비파·무화과·석류·모과·파인애플·바나나·키위(양다래) 등도 재배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