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욱과

다른 표기 언어 Malvaceae

요약 아욱목(―目 Malvales)에 속하며 많은 종(種)의 꽃피는식물로 이루어진 과.

1년생과 다년생초, 관목, 소교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 95속(屬)이 속한다.

이 과의 대표적인 식물들은 추운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라지만 대부분의 종들이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목화속(木花屬 Gossypium)의 목화가 이 과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하며 무궁화속의 몇몇 종들은 경제적으로는 덜 중요한 섬유를 생산한다. 오크라의 녹색 열매는 요리하여 먹고, 몇몇 종의 조직에서 분비되는 점액은 과자를 만드는 데 쓰이며, 그외에 다른 용도로도 쓰인다.

목화(cotton)

ⓒ WIKIMEDIA COMMONS (Forest & Kim Starr) | cc-by

오크라(okra)

ⓒ WIKIMEDIA COMMONS (B.navez) | cc-by-sa

이 과의 30속은 관상용으로 가치가 있는 많은 종들을 포함하는데, 접시꽃속의 접시꽃, 무궁화속의 무궁화, 시다속(Sida), 시달케아속(Sidalcea), 칼리로이속, 어저귀속, 말바스트룸속, 라바테라속, 말바비스쿠속, 키타이벨리아속, 말로페속 등을 들 수 있다.

접시꽃(hollyhock)

ⓒ WIKIMEDIA COMMONS (Kprateek88) | cc-by-sa

말바 모스카타, 말바 크리스파 등의 아욱속에 속하는 몇몇 종들은 정원에 심는다.

미국에는 27속이 자라며, 그외의 속들이 멕시코로부터 남아메리카까지 분포하고 무궁화속·접시꽃속·라바테라속 등 3속만이 영국에서 자란다. 이 과의 대부분은 지중해지역·아프리카·아시아가 대표적 분포지이다.

은 줄기를 따라 어긋나는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있거나 또는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며, 대부분 잎자루 밑부분에 낙엽성인 작은 턱잎이 있다.

털 끝이 별 모양으로 갈라지는 성모(聖毛)가 꽃을 제외한 식물의 일부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몇몇 종에서는 눈[芽] 밖으로 나와 있는 노출된 꽃잎 부분에까지 달리기도 한다. 은 갖춘꽃[完全花]이고 양성화(기능적으로는 수꽃이나 암꽃임)이며 보통 화려하다.

꽃은 전형적으로 5장의 꽃받침잎, 5장의 꽃잎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꽃잎들은 눈 안에서 단단하게 둘둘 말려 있다.

꽃잎은 꽃 안에서 많은 수술이 합쳐져 기둥처럼 된 수술통(staminal column)과 밑부분이 붙어 있으며, 꽃이 시들 때 수술통과 함께 떨어진다. 하나의 세포로 되어 있고 끝이 벌어지는 콩팥 모양의 많은 꽃밥이 수술통 위에 놓여 있는 점이 아욱과의 특색이다. 꽃가루는 크고 공 모양이며 바깥에는 돌기가 달려 있다. 꽃가루받이는 꽃잎 아랫부분 사이의 구멍에서 분비되는 꿀을 찾는 곤충에 의해 일어난다. 제꽃가루받이는 암술머리가 꼬여 꽃밥을 건드리면 일어난다.

심피(心皮)는 2개에서 여러 개까지 다양한데 심피수가 5개일 때는 심피가 꽃받침잎과 마주나고(무궁화속), 꽃잎과도 마주난다(어저귀속). 많은 심피를 가지는 아욱속, 라바테라속, 스파이랄케아속(Sphaeralcea)의 종들은 심피가 꽃받침 위쪽에 둥그렇게 돌려나며 암술머리 수는 심피의 수와 같거나 2배이고 수술통의 끝부분 위에 있다.

각 심피에는 밑씨가 1개(아욱속·말바스트룸속)에서 여러 개(스파클레아속·위사둘라속·목화속·무궁화속)까지 들어 있다.

열매는 1개부터 여러 개의 씨가 들어 있는 분열과(分裂果)이지만 드물게 말바비스쿠스속은 장과(漿果), 무궁화속과 목화속은 삭과이다. 분열과의 가장자리에 나 있는 갈고리나 탄력성 있는 줄무늬와 씨 위에 있는 점액 또는 털들은 씨의 분산에 도움이 된다.

이 과의 속은 10종 또는 그 이하의 종수를 가진 속(아노다속[Anoda], 일리암나속[Iliamna])에서 200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속(스파이랄케아속·무궁화속)까지 있다. 시달케아속·칼리로에속 같은 몇몇 속은 아메리카 대륙에 널리 퍼져 있으며, 어저귀속·무궁화속·아욱속 같은 몇몇 속들은 거의 전세계에 걸쳐 자라고 있다. 몇몇 종들은 성가신 잡초인데, 열매의 모양을 본떠 치즈(cheeses)라고도 하는 말바 로툰디폴리아는 가장 악명 높은 잡초이다.

한국에는 나라꽃인 무궁화를 포함하여 6속 10여 종이 자라고 있는데, 제주도에 자라는 황근을 빼고는 대부분 외국에서 들어온 것들이다. 어저귀는 인도에서, 접시꽃은 중국에서, 아욱속 식물은 열대지방에서, 목화는 중국에서 각각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궁화(rose of sharon)

ⓒ WIKIMEDIA COMMONS (Dezidor) | cc-by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속씨식물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아욱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