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약학

다른 표기 언어 pharmacy , 藥學

요약 의약품의 조제 및 표준화와 관련된 과학과 기술.

개요

약학에는 의약품으로 쓰이는 약용식물의 재배, 의약품으로서 가치 있는 화합물의 합성 및 의약품의 분석 등이 포함된다.

약사들은 정제·캡슐제·멸균주사제와 같은 의약품의 제형을 제조할 책임이 있으며, 의사·치과의사·수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조제한다. 질병 치료에 있어서 특히 약물의 작용기전에 관한 지식을 다루는 학문이 약물학(또는 약리학)이다.

교육

약학교육의 역사는 의학교육의 역사와 맥을 같이한다.

의사교육이 도제제도(徒弟劑度)에서 정규교육과정으로 전환되면서 약사교육도 전환했다. 최초의 약학대학은 1821년 미국에서 설립되었으며, 그후 미국, 영국, 유럽 대륙에서는 여러 약학연구소와 약학대학이 설립되었다. 한국 최초의 약학교육기관은 1915년에 설립된 조선약학강습소(서울대학교의 전신)였다. 3년 뒤에 조선약학교로 되어 전문자격자를 양성했으며 1930년 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현재 약학대학은 선진국에서는 독립된 연구조직이나 종합대학의 학부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 약학사(藥學士)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은 최소 5년으로, 일반교육과정인 1학년과 2학년 교육은 흔히 문리과 대학(현재의 인문대학과 자연대학)에서 받는다. 또한 많은 연구소에서는 약학 및 유사과학 분야의 대학원 과정이 개설되고 이들은 약학·약물학 및 관련분야의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수여하며, 이러한 진전된 교육과정은 특히 약학 분야에서 연구경력을 쌓거나 또는 제약 분야에 종사하거나 교육하는 사람들을 위해 특별히 마련된 것이다.

미국은 약학교육과정을 5년제로 하는 반면 한국에서는 4년제를 채택하고 있으나 5년제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약사가 약물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물질과학과 생명과학의 폭넓은 지식이 요구되므로, 적절한 약학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이들 학문에 대한 이해가 꼭 필요하다. 한국의 교과과정은 천연에서 산출되는 천연물질에서 특정성분을 분리·추출하여 화학구조를 밝히고 생리활성물질을 확인한 후에 이를 토대로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을 디자인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생약학·식물화학·분석화학·유기화학을 기초로 약화학·합성화학·제조화학·발효학·유전공학 등을 배우며 약을 제형화하기 위해 제제공학·제제학·약제학 등을 공부한다.

그밖에 질병 치료나 예방을 목적으로 약을 유효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약리학·독성학·약제학 등이 필요하며, 생리학·생화학·미생물학·체내동태학 등을 공부한다. 5년제를 채택하고 있는 미국의 약학대학 교과과정은 물리학·화학·생물학·세균학·생리학·약물학 및 기타 특정과목이 포함되어 있다. 약사는 전문적인 일뿐만 아니라 사업에도 관여하므로 판매, 회계, 컴퓨터 기술과 법약학에 관한 특수교육을 필요로 한다.

면허와 규제

면허가 요구되는 나라에서 약국을 개설하려면 정규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약사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나라에 따라서는 약사면허 취득 후 일정기간 동안 약국실습을 이수해야 약국을 개설할 수 있다. 약사법은 일반적으로 약국의 개설에 관한 조항, 독극물의 판매, 마약의 처방 및 위해약물의 표기와 판매에 관한 사항 등이 명시되어 있다. 약사는 개업한 나라의 약사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약을 판매하고 투약한다. 이들 법에 따라 약전(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약물의 순도·용량 및 기타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기록한 책)이 약의 표준서로 인정받고 있다. 국제연합(UN) 세계보건기구(WHO)는 1950년대초에 〈국제약전 Pharmacopoea Internationalis〉을 발행하기 시작했으며, 발행 목적은 약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하고 국가약전이 없는 나라에 약물의 표준·강도·명명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약학대학이나 제약공장 실험실에서의 약학연구에는 약물로 사용될 새로운 화학물질의 유기합성과 약용식물의 성분 분리 및 정제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의약품 투여형태의 제형화, 의약품의 안정성 연구, 분석방법 및 표준화 등이 포함된다(치료학). 의약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는 또다른 약학연구는 의약품의 다양한 제형에 따른 생체이용률에 관한 문제이다. 혈중 및 장기 내의 약물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에 소량의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제조공정을 약간 변화시켜도 위장관 내로 약물의 흡수가 방해되어 약효가 없어진다는 것을 알아냈으며, 의약품 제형에 따른 생체이용률을 검정하기 위한 정교한 분석방법이 고안되고 있다.

비록 생체 내 또는 시험관법이 유용하고 정확히 이를 반영한다 해도 생체이용률을 최종적으로 시험하는 방법은 의약품의 제형에 따른 환자의 반응이다.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신약(新藥)으로 허가받기 위해서는 신약의 시판과 관련해 신약의 효능과 안전성을 확립하기 위해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 자료가 필요한데, 이들 실험은 아주 복잡하며 비용이 많이 든다.

특허와 상표등록을 한 신약에 관한 전매권은 국제적으로 제약산업이 성장발전하는 데 있어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약학연구 결과는 분야별로 다양한 학술지에서 발표된다.

역사

약학은 고대에 인류가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즙을 많이 함유한 잎에서 즙을 추출하는 기술이 최초로 실용화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 의하면 의술의 신인 아스클레피오스가 그의 딸이자 건강의 여신인 히기에이아에게 자신의 처방권을 조제할 의무를 부여했다고 전해지는데, 바로 히기에이아가 약제사 또는 약사였다. 고대 이집트에서 의사 역할을 한 성직자는 환자를 왕진하는 성직자와 신전에 남아 환자가 복용할 약을 조제하는 성직자로 나뉜다.

고대 그리스·로마와 중세 유럽에 와서 치료술은 의사와 의약품 제조에 쓰이는 원료를 의사에게 공급하는 본초학자(本草學子)와의 임무로, 즉 의학과 약학이 분리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8세기에 유럽에서는 아랍의 영향으로 약사와 의사의 임무가 실제로 분리되었으며, 이러한 분업화 경향은 1683년 브루겔 시의회가 제정한 법률에 의해 강화되었다. 이 법은 의사가 환자의 약을 조제하는 행위를 금지한다. 미국에서는 벤저민 프랭클린이 펜실베이니아 병원에 약제사를 고용하면서, 약학과 의학이라는 양대 분야를 분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한국에서는 백제시대 때 의사제도에서 의학박사와 제약사가 직업적으로 따로 분리되어 있기는 하나 약학과 의학이 확실히 나누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약학의 발전만을 따로 분리하기도 힘들며, 중국에서 전래된 의학과 약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한국 고유의 의학이나 약학만을 따로 체계화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상고시대의 〈단군신화〉에 나오는 쑥과 마늘은 이미 약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인삼이, 고구려 때는 연금(鍊金)이 약용으로 쓰였다는 중국의 기록이 있다. 또한 고려와 조선시대의 향약발전 및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의설(四象醫說)에 따른 약물 분류는 한국의 의학·약학 사상 가장 독창적인 의설약론(醫說藥論)이라고 할 수 있다. 근대약학이 서양에서 도입된 것은 조선 말기이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제약산업의 발달로 약효가 뛰어난 새로운 의약품이 개발되고 사용되었으며, 약사의 역할 또한 많이 달라졌다. 약을 즉시 조제할 기회는 휠씬 줄어들었고, 좌제(坐劑)·병낭제(餠囊劑)·환제(丸劑)·경고제(硬膏劑) 및 수제(水劑)를 제조하는 데 쓰이는 제제기술(製劑技術)의 필요성도 감소했다. 그러나 약사는 정확한 제형을 공식화하고 저장·공급하며, 투약하거나 공급한 의약품의 효능과 품질을 확인·검정하는 등의 자문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처방한 의사의 의도를 충족시킨다.

약학 조직체

수많은 국내외 약사조직이 있다. 1841년 설립된 영국 약사회가 가장 오랜 전통을 지닌 대표적인 약사회이다. 미국에서는 1852년 약사와 약학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다루는 미국약사회가 설립되었다. 한국에서는 1946년 3월 조선약학회가 설립되었으나 1951년 1월 대한약학회라고 명칭을 변경했으며, 1948년 3월 학술지 〈약학회지〉가 창간되었다.

또한 1954년에 대한약사회가 설립되었다. 국제적인 조직체로는 1910년에 설립된 국제약학연맹으로 전세계적으로 약학의 전문성과 학문성을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50여 개국의 지원을 받고 있다. 전미국 약학 및 생화학 연맹에는 서반구 여러 나라의 약사회가 가입되어 있다. 또한 약학의 역사·교육 및 군사적 측면을 특별히 강조하는 국제적인 단체들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과학 일반

과학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약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