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심장이 박동하는 동안 심장근육에 의해 생겨나는 전류를 그래프로 그리는 방법.
그래프는 심전계(心電計:비교적 간단한 單線檢流計)로 기록되어 심장의 상태와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심전도는 신체의 여러 부위에 전극을 붙이고 심장에서 생기는 아주 미세한 전류를 기록기에 보내 만들어진다. 사지와 흉부벽이 전극을 붙이는 표준 위치가 되었다. 전극을 적절한 위치에 놓고 전도성있는 이고(泥膏)로 붙인 뒤 기구의 눈금을 조정하기 위해 신체 외부에 있는 전원으로부터 1㎷의 전류를 흘려보낸다.
심전도를 표준화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사람들끼리 또는 같은 사람의 시간에 따른 심전도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정상 심전도는 심장의 심방과 심실의 교대 수축을 반영하는 전형적인 상하 파동을 보인다. 위쪽으로 향해 있는 첫번째 파(波)인 P파는 심방수축 때문에 나타나며 심방 콤플렉스라고 한다. 다른 파인 Q, R, S와 T는 모두 심실의 작용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심실 콤플렉스라고 한다. 심전도가 정상에서 벗어나면 심장질환의 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다.
심전도로부터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① 심장이 비대해졌는가의 여부와 그 위치, ② 심장기능이 불규칙적인가의 여부와 그 근원지, ③ 관상혈관(冠狀血管)이 폐색(閉塞)되었는지의 여부와 그 위치, ④ 느린 박동률이 생리적인 것인지 심장블록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 등이다. 고혈압, 갑상선질환, 특정 형태의 영양실조 여부도 심전도에 나타날 수 있다. 1960년대 후반부터는 많은 큰 병원에서 전산화된 ECG가 활용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의학용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