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알바니아의 역사

다른 표기 언어

알바니아인들은 고대 인도유럽계 민족인 일리리아인의 후손들로 적어도 BC 1000년부터 발칸 반도 서부 지역에서 계속 살아왔다. 알바니아 남부에 있던 부족들은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았는데, 두러스 시와 레저 시는 그리스 식민지에서 비롯된 곳들이다.

북부의 일리리아인들은 지역 군주들에 의해 여러번 통일되었다. 그중 대표적인 군주는 북쪽의 달마치야에서 남쪽의 비요서 강까지 영토를 확장하고 슈코더르를 수도로 삼았던 아르곤 왕(BC 3세기 후반)이다. 아르곤 왕이 죽은 뒤 왕비 테우타가 정벌사업을 벌였는데, 이것이 로마인들의 감정을 상하게 하여 BC 168년에 일리리아 전체가 로마에 점령당했다. 그후 알바니아는 로마 속주인 일리리쿰의 일부가 되었다.

로마의 통치하에 일리리쿰은 번영을 누렸다. 395년부터는 행정적으로 콘스탄티노플(지금의 이스탄불)에 합병되었다. 3~5세기에 서(西)고트족과 훈족의 침략을 받고 6~7세기에 슬라브족의 침략을 받았지만 알바니아인들은 자신들의 언어와 관습을 지켜낸 발칸 반도의 몇 안되는 민족 중 하나였다. 14세기에 들어와 투르크의 침략이 시작되었다. 투르크인들은 후에 민족의 영웅이 된 계르기 카스트리오티를 교육시켜 이슬람교도로 개종시키고 스칸더르베그라는 이름으로 불렀으나, 그는 오히려 오스만 투르크의 지배를 물리쳤다.

1443년에 그리스도교를 다시 받아들인 그는 알바니아에 대한 투르크족의 지배에 성공적으로 대항했으나, 그가 죽은 이후 투르크의 지배가 강화되어 알바니아의 경제는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오스만 지배에 대한 지역적 항거가 이어졌으며 1912년의 봉기로 알바니아는 독립을 쟁취했다. 그러나 독립에 대한 국제 사회의 승인은 1921년에서야 이루어졌다. 1939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이탈리아군이 침략해왔으며 1943~44년의 내란으로 알바니아는 사회주의 국가가 되었다. 1944~85년에 엠베르 호자가 이끈 알바니아의 유일한 정당인 노동당은 경제 수단을 국유화시켰다(→ 호자).

알바니아의 독립

오스만 지배에 대한 알바니아의 독립 선언 직후 모습

ⓒ ZjarriRrethues / wikipedia | Public Domain

엔 베르 호자(Enver Hoxha)

알바니아 최초의 공산주의자 국가 원수.

ⓒ Forrásjelölés Hasonló / wikipedia | CC BY-SA 3.0

알바니아는 '자립'의 정책을 채택하기 전에는 유고슬로비아·소련·중국 등과 돌아가며 경제·군사 동맹을 맺었고 유럽의 다른 국가들로부터는 자국을 수십 년 동안 폐쇄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폐쇄성으로 경제가 어렵게 되자 호자의 후계자 라미즈 알리아는 1990년 개방정책을 채택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고조된 국민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경제 통제를 완화하고 반체제 정치이념을 합법화시켰다.

1992년 3월 다당제 선거가 치러졌으며 비공산계인 민주당(PDS)과 다른 자유주의 정당들이 승리를 거두었다. 공산주의자들은 당의 이름을 알바니아노동당에서 사회당(PSS)으로 바꾸고 인민의회 의석의 1/4을 차지했다. 1995~96년의 정치 상황은 불안했지만 경제는 조금씩 나아졌다. 하지만 1997년 피라미드식 투자사업이 붕괴되면서 이와 연계된 대다수의 국민이 하룻밤 사이에 빈털터리가 되었고 경제는 피폐해졌다. 전국은 혼란에 빠졌으며 의회는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PDS 내각은 사임했으며, 1997년 6월 선거에서 PSS가 주도하는 동맹세력이 압도적 승리를 거두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유럽

유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알바니아의 역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