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이황·유성룡을 비롯한 유학의 명현이 많이 배출된 곳으로 예로부터 예안향교·도산서원·호계서원·병산서원·역동서원·고산서원 등 향교와 서원이 발달했으며, 그밖에 전통 교육기관으로는 송천동의 안동향교(安東鄕校), 송현동의 임천서원(臨川書院)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일제강점기에 안동초등학교가 1909년 개교했다. 이밖에 1918년 도산면에 도산공립보통학교, 1919년 풍남공립보통학교, 1921년 일직공립보통학교·임하공립보통학교 등이 각각 세워졌다.
2025년 기준 교육기관으로는 유치원 40개소, 초등학교 33개교(분교장 포함), 중학교 13개교, 고등학교 13개교와 가톨릭상지대학교, 안동과학대학교, 국립경국대학교 등이 있다. 농아 특수학교로 안동진명학교와 지적장애아 특수학교인 안동영명학교가 있다. 이 지역은 사학이 일찍부터 발달했으며, 고등학교가 중심시가지에 모여 있어 읍·면지역의 중학생들이 중심시가지의 고등학교로 진학한다.
시립도서관과 학생도서관이 지방교육과 문화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그밖에 가톨릭 안동 교구에서 설립한 문화회관과 학생회관에서 시민들의 문화활동을 돕고 있다. 안동문화원에서는 안동민속축제를 주관하는 등 지방문화 진흥에 힘쓰고 있다.
민속놀이로는 별신굿놀이·풋굿·지신밟기·놋다리밟기·편싸움·화전놀이 등이 있으며, 매년 열리는 안동민속축제 때 동신제를 지낸다. 설화로는 견훤에 관한 <합전교전설>·<제비원미륵불전설>·<상아동의 진모래설화>·<열녀서씨설화>·<아기장수설화>·<공민왕설화>·<시정잡배갈로덕섭이설화>등이 전해진다. 민요로는 놋다리밟기에 부수된 노래인 <둥둥헤이노래>·<실감기노래>·<놋다리노래>와 <저포송>·<어사용>·<덜구소리> 등이 있다.
2023년 기준 의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 3개소, 병원 3개소, 의원 76개소, 요양병원 7개소, 치과의원 45개소, 한방병원 1개소, 한의원 44개소가 있으며, 사회복지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556개소, 노인주거복지시설 3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36개소, 여성복지시설 2개소, 아동복지시설 2개소, 장애인복지생활시설 13개소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안동시 교육과 문화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