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쟁

다른 표기 언어 牙箏

요약 저음 현악기로 소리를 장시간 낼 수 있어 해금과 관악합주에 쓰인다. 원래 중국의 악기였던 것이 우리나라에 전해졌다. 아쟁은 7현 또는 8현으로 되어 있다.
활대는 개나리 가지에 송진을 칠한 것이다. 가야금보다 몸통이 크고 두껍게 짜여져 있으며, 꼬리 부분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줄은 가야금보다 굵고, 모두 기러기발 모양의 기둥으로 받쳐 세운다. 바깥쪽의 줄이 가장 굵어 낮은 소리가 나고, 안쪽으로 갈수록 가는 줄로 높은 소리를 낸다.
정악아쟁과 산조아쟁으로 나뉜다. 정악아쟁은 대부분의 궁중음악에 사용되며 7현이다. 산조아쟁은 무속음악이나 산조·시나위의 연주에 사용되며, 궁중음악보다 빠르게 연주되는 음악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줄과 줄 사이의 간격을 좁혀 사용한다.

저음 현악기로 소리를 장시간 지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해금과 더불어 관악합주에 쓰인다. 원래 중국의 악기였던 것이 우리나라에 전해져 고려시대에는 당악에만 쓰였고, 조선 성종 때에 와서는 당악·향악(鄕樂)에 함께 쓰였다. 아쟁은 앞면이 오동나무, 뒷면이 밤나무로 만들어졌고 7현 또는 8현으로 되어 있다. 활대는 껍질을 벗기고 매끄럽게 다듬은 개나리 가지에 송진을 칠한 것이다. 가야금보다 몸통이 크고 두껍게 짜여져 있으며, 연주자의 왼쪽에 놓이는 꼬리 부분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점이 특이하다.

해금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쟁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줄은 가야금보다 굵고, 모두 기러기발 모양의 기둥으로 받쳐 세운다. 바깥쪽의 줄이 가장 굵어 낮은 소리가 나고, 안쪽으로 갈수록 가는 줄로 높은 소리를 낸다. 음높이는 기러기발을 움직여 악곡에 따라 다르게 조율한다. 악기의 구부러진 꼬리부분을 바닥에 놓고 머리부분은 초상(草床)이란 틀 위에 올려놓아 경사지게 하여 줄을 마찰시켜 연주한다. 음색은 거친 것이 특징이다.

종류에는 정악아쟁과 산조아쟁이 있다. 정악아쟁은 삼현육각 편성을 제외한 모든 궁중음악의 합주곡에 사용되며 7현이다. 산조아쟁은 무속음악이나 산조·시나위의 연주에 사용되며, 궁중음악보다 빠르게 연주되는 음악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줄과 줄 사이의 간격을 좁혀 사용한다. 또한 전체적인 음역이 높기 때문에 줄의 굵기도 정악아쟁보다 가늘고 악기의 길이도 짧다.

줄이 가늘기 때문에 격렬하고 폭넓은 농현을 필요로 하는 민속악의 표현에 적합하다. 8현으로 되어 있으며, 활대는 정악아쟁과 같이 개나리 가지로 만드나 활대의 굵기와 길이가 정악아쟁에 비해 가늘고 짧다. 조율법도 정악아쟁과 다르다. 오늘날 창작국악에서는 대체로 정악아쟁을 쓰며 저음의 보완을 위해 7현을 9현으로 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 독특한 표현을 위하여 활대 대신 손가락으로 줄을 뜯기도 하고 부드러운 음색을 표현할 때에는 첼로의 활을 쓰기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현악기

현악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현악기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아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