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하와이의 전통 현악기. 포르투갈에서 하와이로 건너온 이주민들이 포르투갈의 민속악기 브라기냐를 개량하여 전파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마누엘 누네스가 가장 널리 알려진 하와이의 우쿨렐레 제작자이며, 당시 하와이의 국왕 갈라카우아왕이 우쿨렐레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형태에 따라 오리지널·파인애플 형으로 나뉘며, 크기에 따라 소프라노·콘서트·바리톤 등이 있다. 대표적인 연주자로는 제이크 시마부쿠로와 국내의 음악가 하찌와 TJ, 우쿨렐레 피크닉 등이 있다.
4개의 줄을 사용한 류트(lute)족의 현악기. 우쿨렐레는 흔히 하와이의 민속 악기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포르투갈의 민속악기 브라기냐(Braguinha)에서 유래된 것이다. 1870년대 하와이는 사탕수수 농장의 노동력을 충당하기 위해 각국으로부터 이민자들을 받아들였는데 그중에는 포르투갈의 노동자들도 있었다. 그들이 호놀룰루에 도착했을 때, 음악가 주앙 페르난데스(Joao Fernandes)가 하와이에 무사히 도착한 것을 축하하면서 포르투갈의 민속악기로 연주하며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하와이 원주민들은 곧 이 작은 악기에 매료되었다. 특히 연주자들이 손가락으로 줄을 튕기며 연주하는 모습이 마치 '벼룩(uku)이 튀는(lele) 것 같다' 하여 '우쿨렐레(Ukulele, 튀는 벼룩)'라는 이름을 붙였다. 1879년 즈음 마누엘 누네스(Manuel Nunes)와 어쿠스토 디아스(Agusto Dia), 에스피리토 산토(Espirito Santo) 이 세 사람이 각각 목재상을 겸하는 가구상을 열어 우쿨렐레를 판매하게 되었다. 당시 하와이의 7대 왕 칼라카우아(Kalakaua) 왕은 우쿨렐레가 하와이의 문화와 잘 어울린다 여겼고, 공식적으로 우쿨렐레를 비호하면서 우쿨렐레의 대중화에 결정적으로 기여하게 되었다.
우쿨렐레는 그 모양에 따라 굴곡이 진 오리지널형과 굴곡지지 않은 파인애플 형이 있으며, 바디의 크기에 따라 소프라노(Soprano, 24~25cm)·콘서트(Concert, 28~29cm)·테너(Tenor, 31~32cm)·바리톤(Baritone, 38~40cm) 등으로 나뉜다. 가장 전통적인 형태는 소프라노이며, 대중적인 것은 콘서트이다. 크기가 커질수록 소리는 기타의 소리에 가까워진다. 줄은 4현으로 기타보다 2현이 적으며 나일론 줄로 만들어진다.
악보는 기타와 마찬가지로 눈금을 사용해 현이나 줄받이를 나타내며, 점을 사용해 손가락 위치를 표시한다. 본래 화음 악기인 우쿨렐레는 멜로디 연주보다는 주로 화음 연주나 춤곡 반주로 활용된다. 음악가로는 1980년대에 활동한 The Ukulele Orchestra of Great Britain 이라는 팀과, 일본계 미국인 우쿨렐레 연주자 제이크 시마부쿠로(Jake Shimabukuro)가 있다. 국내 음악가로는 하찌와 TJ, 우쿨렐레피크닉 등의 팀이 우쿨렐레를 사용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