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쌍떡잎식물강(→ 쌍떡잎식물)에 속하는 목.
9과(科) 약 240속(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목의 대표적인 식물들은 전세계 거의 모든 지역에서 자란다. 많은 열대종은 목본성으로서 상업적으로 중요하다. 아욱과(Malvaceae)는 온대지방에서 자라는 접시꽃과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하와이무궁화같이 꽃을 보기 위해 기르는 식물을 포함한다. 경제적으로 중요한 식물에 목화속(木花屬 Gossypium)과 오크라가 속한다.
봄박스과(Bombacaceae)에는 중요한 목본 속이 몇 개 있다. 아프리카 열대지방에 자라는 바오밥은 키가 중간 정도로 자라지만 매우 활발하게 분열하는 형성층 때문에 나무둘레가 매우 넓은 것이 특징인데, 둘레가 9m를 넘는 것도 많다. 이 식물의 어린 잎은 먹을 수 있고, 과육으로는 청량 음료를 만들며, 수피에서는 섬유를 얻는다. 상업적으로 중요한 이 과의 교목은 아메리카 대륙이 원산지로 세계의 많은 열대지방에서도 심고 있다.
오크로니오 피라미달레는 목재 중 가장 가벼운 발사 목재를 만든다. 케이폭은 케이바 펜탄드라의 열매 안에 있는 씨 바깥층에서 얻는다. 중요한 다른 종류로는 피나무과(Tiliaceae) 피나무속(Tilia)에 속하는 식물과 씨가 음료와 과자의 원료가 되는 벽오동과(Sterculiaceae) 식물이 있다. 브라질에서 멕시코에 이르는 지역이 원산지인 카카오(Theobroma cacao)는 다육질 열매에 코코아 버터, 코코아, 초콜릿을 만드는 카카오가 들어 있다.
콜라넛은 콜라 나무와 이와 근연인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데 추출액에는 카페인과 청량음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당화합물인 콜라닌이 많이 들어 있다.
이 목 식물은 대부분 씨로만 번식한다. 몇몇 과에서 꽃은 꽃받침잎과 꽃잎이 각각 5장이고 수술이 많으며, 암술은 종종 씨방 안에 여러 개의 밑씨를 가진 2개 이상의 심피(心皮)로 이루어진다. 일부 초본 식물에서는 바람에 의해 꽃가루받이가 일어난다. 벽오동과의 꽃은 불쾌한 냄새로 파리를 유인해 꽃가루받이를 한다.
아메리카에서 자라는 열대 왁스맬로(wax mallow)는 벌새에 의해 꽃가루받이가 일어나도록 특수화되었으며, 바오밥과 봄박스과의 다른 식물은 박쥐가 꽃가루받이를 일으킨다. 열매는 대개 삭과로 마르면서 익지만, 접시꽃에서는 15개 이상의 심피가 꽃 가운데에 띠 모양으로 발달하는데 익으면 심피가 동전 모양으로 분리되고 각각 씨를 1개씩 가진다. 아욱목 식물 일부는 다육과(多肉果)를 맺는다. 한국에는 4과 11속에 속하는 25종 가량의 아욱목 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담팔수과(Elaeocarpaceae)에는 담팔수나무 한 종이 있으며, 피나무과에는 고슴도치풀속의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장구밥나무속의 장구밥나무를 비롯하여 9종의 피나무속 식물들이 있다. 아욱과에는 한국의 나라꽃인 무궁화를 비롯하여 목화·아욱속·어저귀속·무궁화속의 11종이 자라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은 외국에서 들어온 식물들이다.
벽오동과에는 벽오동속의 벽오동나무, 불암초속의 불암초를 비롯하여 3종으로 된 까치깨속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