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점성이 있는 액체에서 매끄러운 고체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점도를 지니며 검은색 또는 갈색을 띤 석유와 비슷한 물질. 아스팔트는 주로 수소와 탄소, 소량의 질소·황·산소가 결합된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천연 아스팔트는 유기 해저퇴적물이 분해되어 석유가 만들어지는 초기단계에서 만들어진다. 천연 아스팔트는 흔히 광물질을 함유하지만 석유를 증류하고 남은 잔류 석유 아스팔트는 광물질이 들어 있지 않다.
아스팔트는 가열하면 부드러워지고 특정 조건하에서는 탄성을 지닌다. 도로포장에 주로 쓰이는데, 경유의 방진막 처리를 표면이 단단해질 때까지 반복해 시공하거나 과립 형태의 응집체를 아스팔트층에 첨가한다. 또는 도로 표면의 흙을 아스팔트와 혼합해 단단한 표면을 만든다. 운하의 내장공사, 댐 표면 단장, 항구·해안 공사 등에도 쓰이고, 지붕·도장·바닥 타일·방음처리·방수시설, 그외 건재용으로 사용된다. 전지 같은 공업용품에도 이용된다.
석유를 증류하고 남은 잔류물 또는 천연 퇴적물로부터 얻어진다. 아스팔트는 주로 수소 및 탄소와 소량의 질소·황·산소가 결합된 화합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브레아(brea)라고도 하는 천연 아스팔트는 유기 해저퇴적물이 분해되어 석유가 만들어지는 초기단계에서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천연 아스팔트는 흔히 광물질(鑛物質)을 함유하는 반면, 석유를 증류하고 남은 잔류 석유 아스팔트는 광물질이 들어 있지 않다. 아스팔트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었는데, BC 3000년경에 파키스탄의 모헨조다로에서는 저수지를 만들 때 벽돌로 쌓은 저수지의 벽 사이를 방수처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중동에서는 도로포장과 수도설비의 방수처리등에 널리 쓰였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중요하게 쓰이고 있다. 트리니다드 섬의 피치 호(湖)는 천연 아스팔트가 퇴적되어 있는 최초의 대규모 상업적 공급원이었으나, 석유가 아스팔트의 주원료가 되면서 천연 원료는 그 중요성이 점차 감소했다. 길소나이트·우르질라이트, 그리고 이와 유사한 광맥(鑛脈) 아스팔트는 특히 내열용 에나멜에 사용하며, 단단하고 석탄과 마찬가지로 채광한다. 석유 아스팔트는 도로포장용 기름에서부터 점성도가 큰 공업용까지 다양하게 생산된다.
아스팔트는 가열하면 부드러워지고 특정 조건하에서는 탄성을 지닌다. 역학적 성질들은 결합제나 접착제로 사용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중요하지 않다. 도로포장에 주로 쓰이며, 다양한 포장방법이 있다.
경유의 방진막(防塵膜) 처리를 표면이 단단해질 때까지 반복해 시공(施工)하거나, 과립 형태의 응집체를 아스팔트층에 첨가하기도 한다. 또는 도로 표면의 흙을 그대로 아스팔트와 혼합해 단단한 표면을 만든다. 그밖에 운하(運河)와 저수지의 내장공사, 댐의 표면 단장, 항구와 해안 공사 등에도 쓰이며, 이때 사용하는 아스팔트는 풍화작용과 기계적 손상을 막기 위해 땅에 얇게 분무하여 막을 형성하거나 기초 공사용 사석(砂石) 또는 쇄석(碎石)과 섞어 표면을 보다 두껍게 만든다. 또한 아스팔트는 지붕, 도장, 바닥 타일, 방음처리, 방수시설, 그외 건재용(建材用)으로 사용되며, 전지(電池) 같은 수많은 공업용품에도 이용된다. 아스팔트를 미세한 소구체(小球體)로 만들어 물 속에 부유하도록 분산시킨 아스팔트 유탁액은 특정 용도로 쓰인다.→ 역청
산출구분 | 종류 | 산지 및 제조방법 | 주용도 |
천연 아스팔트 | 레이크 아스팔트 | 남아메리카에서 산출되며, 역청분의 농도가 높은 원유가 지표 낮은 부분에 호수 모양으로 퇴적·생성 | 도로포장·방수공사 |
록 아스팔트 | 유럽·중동·미국 등에서 산출되며, 역청분이 석회암·사암 등의 다공질 암석에 침투하여 천연적으로 생성 | 도로포장 | |
석유 아스팔트 | 고무 아스팔트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고무 분말이나 고무액을 첨가 | 도로포장·타일 |
블론 아스팔트 | 잔류유에 고온의 공기를 불어넣어 제조 | 방수 및 아스팔트 콘크리트 |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원유를 증류·건류한 잔류물을 정제해 제조 | 도로포장·유제용 | |
아스팔트 유제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미립으로 수중에 분산시켜 제조 | 방진처리·방수제·토질안정 | |
컷백 아스팔트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휘발성 기름으로 연화시켜 제조 | 도로포장·접착제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화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