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라인란트 유역 및 인접한 프랑스 지역에 살다가 십자군전쟁(11~13세기)이 끝난 뒤 슬라브 지역(폴란드·리투아니아·러시아)으로 이주한 유대인을 통틀어 일컫는 말.
(히브리어로 '독일'이라는 뜻의 'Ashkenaz'에서 유래) 복수형은 Ashkenazim.
17세기에 동유럽에서 유대인 박해가 시작되자 수많은 유대인들이 서유럽에 정착해, 동유럽에서 그랬듯이 그곳의 유대인 공동체와 동화했다. 얼마 후 '독일식' 유대교 예배의식을 채택한 모든 유대인은 세파르디(스페인식) 유대인과 구별해 특별히 아슈케나지라고 불리게 되었다.
아슈케나지는 히브리어 발음, 문화적 전통, 예배 때 부르는 노래에서 세파르디 유대인과는 달랐다. 또 20세기까지 이디시어를 널리 사용했으며, 특히 예배의식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오늘날 아슈케나지는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유대인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미국과 소련 등지에서는 세파르디 유대인보다 훨씬 많다. 1980년대 중반에 아슈케나지 유대인의 수는 1,100만 명이 넘었다.
이스라엘에서는 아슈케나지와 세파르디 유대인의 수가 거의 비슷하며 아슈케나지 최고 랍비와 세파르디 최고 랍비는 지위가 동등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