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샤리

다른 표기 언어 Abū al-Ḥasan al-Ash⁽arῑ
요약 테이블
출생 873/874, 이라크 바스라
사망 935/936경, 바그다드
국적 이슬람

요약 아랍의 이슬람 신학자.

사색적인 신학자의 이성주의적 방법론을 정통 이슬람의 사상체계 속에 통합시킨 것으로서 유명하다.

그가 젊은시절에 편찬한 〈이슬람 신학논총 Maqālāt al-Islāṇ- mῑyῑn〉에서 알 아샤리는 이슬람 신학의 여러 문제들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를 한데 모았다. 912년경부터 그는 〈코란〉과 순나(sunnah:이슬람의 관습과 마호메트의 언행록에 기초를 둔 관행)를 탐구하여 보다 정통적인 신학 연구를 추구했다. 그는 이후 알 가잘리와 이븐 할둔과 같은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한 신학파를 세웠다.

알 아샤리는 바스라에서 태어났다.

당시 바스라는 이라크의 지적 중심지이며 동시에 이슬람 세계, 나아가 세계문명의 중심지였다. 그는 예언자의 유명한 동료 아부 무사 알 아샤리(662/663 죽음) 가문 출신으로 믿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의 사상에 반대하는 일부 신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의문시한다. 태어날 때부터 당시 아랍-이슬람 세계 귀족사회의 일원이었으므로 그는 면밀한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을 것이다. 당시의 기록에 의하면 가문은 매우 부유했기 때문에 오로지 탐구와 학문에만 전념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의 저작들, 특히 〈이슬람 신학논총〉의 제1부와 후대 역사가들의 설명에 의하면 알 아샤리는 당시의 유명한 신학자들의 무타질라파에 아주 일찍부터 들어갔다고 한다.

AH(anno Hegirae:'헤지라가 있었던 때부터'라는 뜻) 3세기 말엽(AD 9세기 후반~10세기 초반)에 바스라의 무타질라파를 이끌었던 아부 알리 알 주바이의 총애받는 제자가 되었다.

이 신학자들에 대한 자료에 문장의 공백이 있지만 그들의 문화와 사회적 위치의 특징적인 모습은 파악할 수 있다. 모든 이원론적 교의와 그리스도교 및 유대교와 대조해서 〈코란〉에 해석된 이슬람교의 독창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무타질라 학파는 유일신의 절대적인 초월성을 강조하는 데 그들의 노력을 집중했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그들은 주로 그들 자신의 아랍-이슬람 전통에서 근원을 삼았기 때문에, 3세기초부터 바그다드에 침투해온 외국문화(특히 그리스와 이란 문화)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무감각했다. 그러나 아랍-이슬람 문화는 대중적이 아니었다. 알 아샤리가 공부하던 당시의 무타질라파 신학자들과 같은 지적 엘리트 집단과 일반 대중 사이의 단절은 너무나 철저했다.

알 아샤리의 한 제자는 그당시 스승의 모습을 이렇게 적고 있다.

"알 아샤리는 알 주바이의 제자였다. 그는 충실하게 스승의 말을 경청하고 가르침을 받았으며, 40년 동안 그의 곁을 떠나지 않았다. 수업중 논쟁이 벌어질 때는 논증에서 재능을 보였고 상대방과 논적하는 데 대담했다. 그러나 그는 저술에는 소질이 없었다. 펜을 잡으면 때로는 끝맺지 못했고, 때로는 쓴 것이 만족스럽지 못했다." 이 증언에서 적어도 그것의 부정적 측면은 다음과 같은 이븐 아사키르의 기록으로 수정될 수 있다. "그의 작품들은 매우 체계적이었고 표현과 논리전개는 아주 정확했다." 어쨌든 무타질라파의 뛰어나고 충실한 제자였던 알 아샤리가 이슬람 신학의 요점에 관한 여러 학파의 주장들을 수집·정리한 책을 쓰기 시작한 것이 그의 생애 가운데 바로 이 시기였다.

당시 출판된 〈이슬람 신학논총〉의 제1권인 이 책은 무타질라파의 교의를 기록하고 있어 귀중한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은 이슬람 신학의 초기 역사를 추적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사료(史料) 중의 하나이다. 같은 시기에 알 아샤리는 바브 알아브와브(카프카스 산맥과 카스피 해 사이에 위치한 지금의 데르벤트 지방)의 이슬람교도들을 위해 〈변경민들에게 보내는 서한 Risālah ilā ahl ath-thaghr〉을 썼다. 이 책을 쓴 이유는 당시 중앙정부가 제국의 북부 변경지방 안전에 새로이 관심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후 신학 전문가로서 구두 논쟁과 저술한 작품으로 널리 알려진 40세 때의 알 아샤리는 스승인 알 주바이와 결별하고 무타질라의 교의를 버렸다.

이러한 개종은 놀라운 일이었다. 이 일은 잠시 동안 알 아샤리를 바스라의 관심의 초점으로 만들었는데, 이것에는 몇 가지 이야기들이 있다. 자세한 부분까지 모두 확인할 수 없지만 기본적인 줄거리는 대체로 일치한다. 실제로 일어난 일은 이러하다. 양심의 위기가 일어난 다음(이것은 꿈에서 마호메트를 만났기 때문이라고도 함), 알 아샤리는 무타질라파 주장의 한계를 분명하게 깨달았고 따라서 이슬람 신앙의 원천인 〈코란〉과 순나에 대한 보다 철저한 연구로 회귀했다.

그의 스승인 알 주바이의 저술을 읽어보면 알 아샤리에게 감명을 준 단점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저술 속에서 알 주바이는 마음속으로 어느 특정 청중을 염두에 두거나 납득시키려고 하지 않았던 것처럼 보이며, 그는 오직 논증하고 있을 뿐이다. 그에게 있어서 인간의 실재만큼이나 신의 실재 또한 너무나 무미건조한 것이어서 그 문제는 이성에 의해 조작된 문제에 불과했던 것이다.

무타질라 신학의 이러한 한계와 너무 이른 고갈을 누구보다도 깊이 깨달았던 알 아샤리는 그의 새로운 신앙을 공개적으로 주장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일부 기록에 의하면 그는 바스라의 대(大)모스크에서 금요예배중에 자신의 새로운 입장을 극적으로 선언했다고 한다. 그날 이후부터 이전의 무타질라파는 어제의 동료들을 상대로 싸우기 시작했다. 알 아샤리는 글과 말을 통해 논박하면서 옛 스승까지도 공격했다. 아마도 이때 그의 첫 저서인 〈이슬람 신학논총〉에 객관적인 설명을 부언하기 위해 자기의 새로운 신앙에 보다 적합한 수정을 가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시기에 그는 무타질라 학파와 완전한 결별을 보여준 저서 〈빛나는 책 Kitāb al-Luma⁽〉을 썼다.

915년 바스라에서 아부 알리 알 주바이가 죽기도 전에 알 아샤리는 바그다드를 자신의 학문 중심지로 만들기로 결심했다. 수도 바그다드에 도착한 그는 곧 이븐 한발의 제자들로서 순나를 신봉하는 한 집단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들의 지도자 알 바르바하리는 선동 정치가의 기질을 갖고 있는 활동적인 인물이었다. 알 아샤리는 그를 방문하여 교의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설명하면서, 이미 자신의 신학적 체계화를 통해 방어수단을 가지고 있는 무타질라파를 공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따라서 자신의 논문들은 진리를 지지하는 변증의 모범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실망스럽게도 그는 아무런 격려도 동의도 받지 못했고 한발리파에 받아들여지지도 않았다. 알 바르바하리는 무뚝뚝하게 자신은 그 모든 것에 관심이 없고 한 사람의 스승인 이븐 한발만을 따른다고 말했다.

이같은 대면이 있은 후 알 아샤리는 그의 가장 유명한 논문 가운데 하나인 〈종교의 원리에 대한 설명 Ibānah ⁽an uṣūl ad-diyānah〉의 작성, 즉 그 마무리 작업을 했던 것이 틀림없다. 이 책은 몇 군데에서 이븐 한발과의 추억을 보여주고 있다.

그후 알 아샤리는 바그다드에서 자리를 잡고 자기 주위에 제자들을 모으기 시작했다.

신비주의자 알 무하시비와 다른 2명의 신학자, 이븐 쿨라브와 칼라니시의 주장에 대해 주로 신학적 고찰을 집중시키면서 알 아샤리는 무타질라파와 한발리파 양자와 구분되는 새로운 신학파의 기초를 닦았다. 그의 제자 중에 가장 유명한 3명은 알 바힐리, 앗 술루키, 이븐 무자히드였다. 그들은 모두 스승의 교의를 충실히 전승했고, 이후 호라산에서 이 학파를 번성시키는 데 기여했다. 알 아샤리는 932(또는 933)년경에 죽었다고도 하지만 935(또는 936)년경이 옳을 듯하다.

그는 바그다드의 남서쪽 '물항아리를 싣는 곳'이라는 곳에 묻혔다. 그의 무덤 위에 영묘(靈廟)가 세워졌지만 나중에 광신적인 한발리파가 파괴했다. 알 아샤리 자신이 그의 놀라운 전향으로 처음 일으켰던 반대당은 그의 제자들에게도 계속 일어났다. 그러나 그들은 반대자들과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이후 아샤리 학파의 특징을 이루는 교의의 주요체계를 점차 확립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알 아샤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