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미타불화

다른 표기 언어 阿彌陀佛畵

요약 아미타의 극락세계를 그린 그림.

흥국사 아미타삼존불화

〈아미타경 阿彌陀經〉에 의하면 아미타여래는 아미타우수(Amitāyus), 즉 무량수(無量壽)와 아미타바(Amitābha), 즉 무량광(無量光)이라는 2개의 이름이 있다.

이는 중생을 구제하는 데 있어서 시간적·공간적으로 무한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국을 비롯한 중국·일본 등 동북아시아에서는 무량수라는 이름을 주로 사용했다. 불교에는 우리가 죽은 다음에 태어날 행복한 세계인 불국토(佛國土), 즉 정토(淨土)가 수없이 많은데 아미타여래는 수많은 정토 가운데에서도 가장 잘 알려져 있고 가장 선호하는 서방극락정토(西方極樂淨土)의 주존(主尊)이다.

아미타여래와 극락세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은 〈무량수경 無量壽經〉·〈관무량수경 觀無量壽經〉·〈아미타경 阿彌陀經〉, 즉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이며 정토교의 근본경전이 되고 있다.

아미타불화는 이러한 정토삼부경과 그 신앙을 바탕으로 제작된 그림을 일컫는 것으로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아미타전·극락전·무량수전 등 부처의 성격에 의거하여 붙여진 전각(殿閣)에 봉안된다.

아미타불화의 종류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① 설법도(說法圖)는 독존도(獨尊圖)·아미타삼존도(阿彌陀三尊圖)·아미타구존도(阿彌陀九尊圖)·극락회상도(極樂會相圖) 등이 있다.

그중 독존도는 수미단(須彌壇) 위의 연꽃대좌 위에 정면을 향해 앉아 있는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도쿄[東京] 네즈 미술관[根津美術館] 소장본(1306)과 교토[京都] 교쿠린 원[玉林院] 소장본이 잘 알려져 있다. 극락회상도는 아미타여래가 서방정토에서 설법하는 모습으로, 화면구성은 가운데 본존이 앉아 있고 그 주위에 8명의 보살과 제자들, 사천왕(四天王)을 비롯한 외호중(外護衆), 시방(十方)의 여러 부처의 모습을 좌우에 배치한다.

좌우의 숫자는 대체로 같으며 형상도 유사하게 표현하는 경우가 많아 좌·우대칭에 가까운 구도를 이룬다.

장곡사(長谷寺) 소장본(1708)과 천은사(泉隱寺) 소장본(1776)의 작품이 잘 알려져 있고, 이외에도 18~19세기의 작품이 상당수 남아 있다. 그밖에 서방극락도가 있는데 이것은 〈무량수경〉의 내용 가운데 서방극락세계의 모습만을 표현한 것으로 대체로 극락회상도의 내용에 극락의 장면, 즉 궁전·연못 등을 덧붙여 좀더 설명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동화사(桐華寺) 염불암(念佛庵) 소장본(1841)이 잘 알려져 있다.

② 내영도(來迎圖)는 아미타여래가 왕생자를 극락으로 인도하기 위하여 왕생자를 맞이하러 오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관경변상도의 내용을 도회한 것이다. 형태는 독존도·아미타삼존내영도(阿彌陀三尊來迎圖)·아미타구존내영도(阿彌陀九尊來迎圖) 등이 있다.

관경변상도(觀經變相圖)는 〈관무량수경〉의 내용을 도회한 것으로 경전의 서품(序品)만을 묘사한 관경서품변상도와 본품(本品)만을 묘사한 관경십륙관변상도(觀經十六觀變相圖)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관경변상도). 관경서품변상도는 마가다 왕국 왕사성(王舍城)에서 일어난 부자(父子) 사이의 왕권쟁탈에 얽힌 비극적 내용을 4~5장면으로 압축하여 표현한 것이다.

일본 다이온 사[大恩寺] 소장본(1312)과 사이후쿠 사[西福寺] 소장본이 대표적이다.

관경십륙관변상도는 마가다 왕국의 왕비인 위데휘[韋提希]에게 가르쳐준 아미타부처 및 그 세계를 관상하는 16가지의 방법을 표현한 것이다. 화면구성은 좌우에 13관을 그리고 중앙에 나머지 3관, 즉 구품(九品)·설법장면·연못을 묘사하고 있다.

일본 사이후쿠 사 소장본, 그리고 교토 지온 원[知恩院] 소장의 고려시대 작품(1323)과 조선시대의 작품(1465)이 잘 알려져 있다. 그밖에도 관음보살도와 지장보살도는 두 보살의 성격상 넓은 의미에서 아미타관계불화의 범주에 넣을 수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명화

명화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미타불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